인천지역 환경 현안 해결을 위해 시민들이 참여하는 ‘환경 협치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 21일 인천시의회에서 ‘인천지역 환경현안 해결을 위한 시민참여 환경협치모델 구축 간담회’가 진행되고 있다.  <인천시의회 제공>
▲ 21일 인천시의회에서 ‘인천지역 환경현안 해결을 위한 시민참여 환경협치모델 구축 간담회’가 진행되고 있다. <인천시의회 제공>
21일 인천시의회에서는 산업경제위원회와 인천녹색환경지원센터가 공동주최한 ‘인천지역 환경현안의 해결책 마련을 위한 시민참여 환경 협치 모델 구축 간담회’가 열렸다.

이날 간담회에는 인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와 인천YWCA, 인천녹색연합을 비롯한 시민단체와 환경전문가, 시의원, 시 관계자가 참여했다.

환경기초시설인 광역폐기물소각장, 공공하수처리시설 신설 문제 등 시급한 환경 현안 해결책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제안이 있었다.

청라폐기물에너지화시설(청라소각장)은 시설설계 당시 총 500t으로 운영됐지만, 2011년부터는 420t으로 용량이 줄었다. 음식물 폐기물 분리와 비닐포장재 등으로 생활폐기물의 발열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소각할 수 있는 용량이 줄어든 데다 내구연한도 17년으로 기준인 15년을 넘어 노후화가 심각하다. 작년 시설 노후화로 5회 가동 중지가 되기도 했다.

현대화를 서두르지 않으면 시 재정부담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자원순환기본법 시행에 따라 소각·매립 부담금이 늘었지만, 지역 소각장의 경우 감면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승기하수처리장도 오염도를 알 수 있는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기준초과일수가 67일이었다. 총질소는 337일로 거의 매일 초과해 방류해 시설개선이 시급하다.

김진한 인천녹색환경지원센터 센터장은 "민간시설이었다면 벌써 폐쇄했어야 하는 수준이다"라며 "문제는 이 시설들이 악취를 발생시키고 민원의 원인이 되는 시설로 바뀌었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환경기초시설 현대화를 비롯해 시민들과 밀접한 환경 현안들에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도 이어졌다.

폭염이나 태풍 등 기후변화 대책과 하수 중간처리 등 재활용 방안과 시민을 대상으로 한 재활용 정책 홍보, 습지 보호, 미세먼지·라돈 등 생활환경 해결책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박병상 인천도시생태환경연구소 소장은 "올해 심각한 폭염이 있었고 태풍도 올라오고 있는데, 앞으로는 이런 문제들이 더 심각해 질 것"이라며 "생존을 다루는 환경 현안에 대해 연구가 필요하지만 현재 시가 하고 있는 수준으로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의 목표였던 환경 협치는 시민과 전문가, 시의회, 행정 간 논의를 보다 면밀히 하기로 했다. 시의회가 참여하는 환경모임을 만드는 등 실질적으로 협치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됐다.

강원모 시의원은 "그동안은 민관 협치가 의회를 배제하고 집행부를 상대로만 이뤄지다 보니, 나중에는 흐지부지 되는 경우가 많았다"며 "부족하겠지만 시간을 가지고 같이 이야기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