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jpg
▲ 김필수 대림대 교수
BMW 차량 화재는 관심사뿐만 아니라 향후 가져올 각종 이슈에 대한 부분도 관심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BMW는 수입차 메이커 중 2년 전만 해도 10여 년 이상을 굳건히 1위를 지켰던 최고의 프리미엄 브랜드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치고 올라온 벤츠 브랜드에 2년째 1위를 내주고 있지만 역시 BMW는 수입차 쌍두마차 중의 하나임에 틀림이 없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번 BMW 차량 화재로 눈에 보이는 물질적인 손실은 물론 보이지 않는 브랜드 이미지에 큰 손실을 입었다는 것이다. 이미 중고차 시장도 이를 반영해 값이 떨어지고 있고 신차 고객은 멈춘 상태라 할 수 있다. 본사에서 불량 차량으로 인한 잘못에 대한 책임을 모두 BMW코리아에서 부담하는 안타까운 부분이 지속되고 있다. 이번 BMW 문제는 국내 수입차는 물론 국내 메이커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몇 가지 측면에서 앞으로 몰고 올 파장을 살펴보도록 하자.

 우선 독일 4사의 위상과 명성이 예전 같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한때 수입차 점유율 중 독일 4사가 차지하는 점유율이 70%를 넘기기도 했지만 이제는 그렇지 못하다. 폭스바겐 디젤게이트 이후 아우디와 함께 개점 휴업 상태를 2년 지속하다가 올해부터 본격 재가동을 했지만 예전 같지 못하다. 여기에 최근 아우디는 특정 모델을 중심으로 초할인 정책으로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등 프리미엄의 이미지가 많아 상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이번 BMW 차량 화재사건은 역시 2위에 머무르고 있는 위상에 더욱 큰 타격을 주고 있다. 벤츠 1위 독주체제가 당분간 지속되겠지만 이 역시 지속형으로 가기에는 고민이 많을 것이다.

 둘째로 디젤승용차의 제2의 위기가 오고 있다는 것이다. 이미 정부에서는 디젤차량에 대한 각종 규제를 언급하면서 옥죄고 들어오는 만큼 디젤승용차의 위상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아마도 이번 BMW 사건 이후에는 더욱 소비자의 선택 폭이 좁아질 것이고 판매율도 저감될 것이다. 이번에 현대차의 그랜저 등 대표급 승용차의 디젤엔진 탑재를 포기한 이유도 바로 이러한 흐름과 무관치 않을 것이다.

 셋째로 마이너급 수입사들의 선전이 예상된다. 물론 마이너라고 하기에는 이미 위상이 좋은 메이커가 대다수이겠지만 하이브리드차가 포진한 메이커가 유리할 것이다. 가솔린차는 괜찮지만 연비 등 한계가 있고 전기차는 보조금 지급 등 이점이 크지만 아직은 충전 거리와 충전인프라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기 때문에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으나 아직은 선입견이 크다. 결국 중간 단계인 하이브리드차가 인기를 끌 것이다. 20여 년간 개발 보급되면서 기술적 완성도 및 연비 등 소비자 니즈 측면에서도 충분히 내연기관차와 싸울 수 있는 위치가 확보됐기 때문이다. 그래서 도요타 및 렉서스나 포드는 물론이고 재규어 랜드로버와 볼보 등도 인기를 끌 것이라 예상된다.

 넷째로 이번 BMW 차량 화재로 소비자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 책임 소재에 대한 메이커의 입증 책임제, 집단소송제, 리콜 등에 대한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움직임이 컸던 국토교통부 등의 문제점을 개선해 제품 결함신고센터를 확장하고 강화해 선진적으로 움직이는 모니터링 시스템 개축도 중요한 변화일 것이다.

 다섯째로 당연히 국내 메이커의 변신이 중요할 것이다. 물론 다양한 신차종으로 수입차와 대결하는 구도도 다양하게 만들어지겠지만 여기에 소비자 중심의 일선 움직임이 중요할 것이다. 올해 후반은 자동차 산업과 문화에 큰 영향을 주는 시기일 것이다. 물론 이 중심에는 BMW 차량 화재사건이 준 영향이 클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