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0.jpg
▲ 지난 21일 남촌동 주민센터에서 인천시가 이곳 주민들을 대상으로 '빈집활용 주거재생 모델'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인천시 제공

민선7기 인천시정부가 역점을 두고 있는 도시(마을)재생사업이 곳곳에서 잡음이 일고 있다. 도시재생 총괄계획자(코디네이터) 등 전문가에 대한 해당 지역 주민들의 불신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일부 전문가 그룹이 도시정비사업구역을 ‘문어발식’으로 맡고 있는 데다 지역주민과 거버넌스(협치)가 이뤄지지 않는 게 더 큰 문제다.

 26일 시와 인천도시공사 등에 따르면 최근 열린 남동구 남촌동 빈집행복채움 프로젝트(약 31만㎡) 주민설명회에는 총괄코디네이터가 참석하지 않았다. 이 프로젝트의 총괄코디네이터는 인천의 한 대학 건축학과 교수다.

 이 지역의 마을재생 추진 목표는 지속가능한 ‘주민 거버넌스’ 중심의 계획 수립이다. 주민 조직 지원을 통한 공동체 활성화와 현황·자원 등 조사를 통해 지역의 문제 인식과 의제를 발굴하고, 주민 조직 및 네트워크 구성으로 주거환경 개선 공감대를 확산하는 게 주요 사업 내용이다.

 주민설명회에 참석한 이 지역 주민자치위원들은 총괄코디네이터를 한 번도 만난 적이 없고, 참석한 마을재생자문단 등도 보지 못한 사람이라고 항의했다. 일부 주민자치위원은 "총괄코디네이터와 자문단, 마을활동가 등에게 연간 1억2천만 원의 예산이 들어간다는데, 그동안 뭘 했는지 알 수가 없다"며 "이렇게 할 바에는 마을재생이고 뭐고 다 그만두라"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참석 주민들이 이 발언에 동의하고 박수를 치자 시와 도시공사 측은 당황해했다. 결국 지역구 시의원이 주민들과 중재에 나서 상황이 잠잠해졌다.

 총괄코디네이터의 문어발식 확장은 재생사업의 특성인 마을별 차별화를 방해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에서 3개 이상 도시재생사업의 총괄코디네이터를 맡는 A교수는 인천의 남동구와 부평구 2곳에서 총괄코디네이터를 맡고 있다.

 시의 한 관계자는 "A교수가 관여했다는 서울의 한 도시재생 사업구역을 가 봤는데, 재생센터와 건물 1개 더 지어 놓고 실질적인 재생사업은 거의 없었다"며 "300m 정도 골목길에 벤치 만들고 벽화 그리고 그게 다였다. 그 사람이 인천의 마을재생을 맡는다니 걱정이 앞선다"고 귀띔했다. 이어 "지난해만 총괄코디네이터 등 마을전문가라는 사람들에게 회의수당으로 1인당 수백만 원씩 들어가는 게 현실이지만 실질적으로 주민 거버넌스가 이뤄지는지는 의문이다"라고 덧붙였다.

 인천도시공사 관계자는 "총괄코디네이터 지정은 각 구에서 하고 있고, 남촌동 주민설명회에는 총괄코디네이터가 참석하지 않아 의아했다"며 "(불신에 대한 얘기는)재생사업처 회의 때 상황을 얘기하고 논의해 보겠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남촌동은 총괄코디네이터를 선정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주민들과 재생사업의 방향이 달라 반발이 있는 것이다"라며 "총괄코디네이터의 역량과 중복 문제에 대해 확인해 보겠다"고 했다.


이창호 기자 ych23@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도시재생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