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한국남동발전㈜ 영흥발전본부가 1∼2호기를 가동했다. 지역사회의 숱한 갈등과 반목이 점철된 산고(産苦)였다.

그렇게 15년이 흘렀다. 2기(1천600㎿)로 시작한 영흥발전본부의 발전시설은 6기(5천80㎿)로 늘었다. 당연히 주변 지역의 환경피해도 증폭됐다.

본부 측은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을 통해 웬만큼 할 일은 다했다는 투다.

하지만 지역공동체는 파괴됐다. 그깟 돈 몇 푼과 바꿀 수 없는 가치다. 본보는 영흥발전본부 15년의 민낯을 들여다본다. <편집자 주>

▲ 한국남동발전㈜ 영흥발전본부가 석탄재를 매립하면서 복토를 제대로 하지 않아 환경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사진은 영흥발전본부 석탄회 제1매립장 전경. <옹진군 제공>
유연탄을 연료로 쓰는 한국남동발전㈜ 영흥발전본부(이하 영흥발전본부)의 골칫거리는 연소 과정에서 나오는 석탄재인 ‘회(灰)’이다. 지역사회는 그동안 재활용을 통해 폐기물인 석탄재를 줄일 것을 끊임없이 요구했다. 영흥발전본부는 이런 요구를 귓등으로도 안 들었다. 되레 환경피해를 일으키는 석탄재를 묻을 매립장 건설에 몰두했다.

지난해 11월 영흥발전본부에서 발생한 석탄재 날림먼지가 주변 지역을 덮쳤다. 당시 농작물 등에 극심한 피해가 발생했고, 주민들은 고통을 받아야 했다. 그 다음 달 인천시 특별사법경찰은 대기환경보전법 위반 혐의로 영흥발전본부 측을 형사입건했다. 평균 풍속이 초속 8m 이상일 때 석탄재(灰) 처리장의 하역 작업 중지 규정을 어긴 것이다.

올해 1월에도 영흥발전본부는 회 처리장 유지·관리 위반으로 400만 원의 과태료를 물었다. 수면 위로 매립한 석탄재가 복토되지 않아 바람에 날린 것이다. 영흥면 외1리 소장골 배추밭 오염사건의 발단이었다.

영흥발전본부는 ‘배 째라’는 식이다. 환경피해 사고가 터지면 돈 몇 푼으로 때우면 된다는 식이다. 소장골에 매년 6천만 원을 주기로 하고 입막음했다.

영흥발전본부가 발전시설을 증설하면서 석탄재는 매년 늘고 매립용량을 넓힌다.

29일 옹진군과 영흥발전본부에 따르면 석탄재 발생량은 2013년 96만6천t에서 지난해 164만4천t으로 5년 사이 70% 이상 증가했다. 매립량은 최근 5년 동안 연평균(2013∼2017년) 54만2천t에 이른다. 영흥발전본부는 이미 설치된 2곳의 회 처리장(매립장)도 모자라 제3매립장 건설사업 착공도 앞두고 있다. 때문에 매립장 추가 건설이 아닌 다른 해결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영흥발전본부는 2003년 해양수산부로부터 공유수면 폐기물처리시설 인가를 받아 약 141만2천㎡의 면적, 784만㎡ 용량의 제1매립장을 건설했다. 발전시설 1∼4호기에서 나오는 석탄재를 매립하기 위해서다. 1매립장이 거의 차자 2014년 2월 약 22만8천㎡ 규모, 약 233만2천㎡ 용량의 제2매립장(5∼6호기)을 세웠다. 추가 매립장이 부족하자 지난해 제3매립장 건설을 추진해 올해 12월 착공 준비를 마쳤다. 면적 88만㎡, 658만㎡ 용량으로 총 사업비 903억 원이 투입된다.

해당 지역 주민들은 "현재 매립된 석탄재에 대한 유해성 조사를 해야 한다. 엄밀히 폐기물인데, 영흥도 땅을 썩게 만들고 있다"며 "매립장으로 어떤 피해가 발생되는지부터 조사한 뒤 다른 대안 등 근본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승훈 기자 hun@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영흥화력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