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jpg
▲ 김필수 대림대 교수
BMW 차량의 화재가 연속 발생하고 있다. 이제는 기존 디젤승용차에서 가솔린 차량으로 확대되는 추세이다. 최근 공청회를 거쳐 경찰의 압수수색도 있었다. 각종 의혹과 늑장 리콜에 대한 정황이 나타나고 있고 머지않아 청문회 등도 예상되고 있다.

 지난 1개월 여 동안 차량 화재로 인한 초미의 관심 사안은 이제 정부로 넘어가고 있다.

 나는 1달여 동안 각종 팩트를 언급하면서 국토교통부의 운행 자제 결정은 물론 민관조사단 구성 등을 항상 언급했다.

 특히 국토교통부 단독이 아닌 EGR 등의 경험이 많은 환경부 산하 전문가의 합류도 권장했다. 각종 의문이나 문제점도 언론을 통해 모두 제시된 만큼 실질적인 역할이 중요해졌고 그 역할은 결국 정부가 담당해야 신뢰성이 높아진다.

 첫 번째로 지금의 BMW 리콜 방법이 틀리다는 것을 입증해야 한다. 절대로 BMW 본사에서는 현재의 주장을 철회하지 않을 만큼 끝까지 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폭스바겐 디젤게이트 당시에도 미국의 결정적인 증거인 스모킹 건을 찾은 다음 폭스바겐에서 인정할 만큼 차량의 설계상 결함 등은 절대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EGR 부품과 함께 알고리즘인 소프트웨어의 조사도 병행해 정확하고 신속한 원인 파악이 중요해졌다. 이미 EGR 관련 각종 부품인 밸브와 쿨러, 바이패스 등의 변경은 수시로 있었고 다양하게 진행돼 왔던 만큼 엔진과 함께 설계상의 문제점을 파악해야 한다. 이미 팩트로 제시된 쿨러의 한계와 바이패스의 과대한 활용은 물론 DPF와의 연동 등 여유 설계가 없는 정황은 많다.

 두 번째로 민간의 역할은 한계가 크다는 것이다. 장비나 시험 기간은 물론 체계적인 실험 등 다양성 측면에서 단편적 실험에 그치는 만큼 결정적인 단서는 결국 정부의 역할과 체계적인 실험을 통해 밝혀야 한다. 이미 시장에서는 각종 기자회견 등을 통해 과도하거나 비현실적인 의견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으나 정부에서 각종 내용 중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팩트를 정리해 결정적 단서를 찾을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세 번째로 국토교통부의 민관조사단 역할이다. 이미 조사단 명단을 구성해 본격 활동을 하겠지만 각종 고민도 많다고 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환경부 등 분야별 최고 전문가가 조성돼 제대로 된 활동보다는 구색 갖추기에 연연하고 생색내기에 올인한다면 결국 이 문제는 영원히 묻힐 수 있다. 일선에서 나오는 각종 정보를 잘 정리해 과시하지 말고 겸손하고 진정성 있는 조사가 필수적이다. 동시에 환경부도 산하기관을 활용해 조사를 했으면 한다. 이미 이번 9월부터 실도로에서의 환경 검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만큼 시장에서 운영되는 리콜 대상 BMW 차종을 대상으로 전문 장비를 얹어 신고된 배출가스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EGR 밸브 등 각종 부품의 동작 특성도 함께 연동해 확인한다면 국토부 민관조사단과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

 네 번째로 이제는 BMW 본사와의 진검승부가 시작되는 만큼 자존심 싸움이 됐다고 할 수 있다. BMW에서 언급하던 내용대로 그냥 끝난다면 국내 자동차 기술의 한계성과 정부의 신뢰성 측면에서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우리 시장에 대한 변방 시장으로 간주되는 아픔을 계속 받아야 한다. 더욱이 BMW 피해자 모임에서 미국이나 독일에 시험을 의뢰하자고 할 만큼 우리를 못 믿는 문화도 있는 만큼 자존심 싸움이 됐다. 잘못하면 내년 여름 폭염 때 같은 연속 BMW 차량 화재가 발생한다면 국민들께 심각한 불신과 함께 모든 책임을 묻게 된다는 것을 확실히 인지했으면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