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0년 공시지가 대비 올 380% 상승률을 보인 인천 남동인더스파크 전경.  <기호일보 DB>
▲ 2000년 공시지가 대비 올 380% 상승률을 보인 인천 남동인더스파크 전경. <기호일보 DB>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인천지역 국가산업단지의 땅값이 고용창출 및 생산유발 효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산단 용지 가격상승이 입주업체와 지역경제의 경쟁력을 악화시키고 있어 관련 용지의 활용도를 높이고 산단을 추가 공급하는 등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얘기가 나온다.

9일 인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수도권 주요 산단 지가(地價) 및 입주업체·고용·생산액 변화 비교 보고서’에 이 같은 내용이 담겼다. 조사 대상은 인천 남동·부평·주안산단과 경기도 반월·시화산단 등 5곳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준 공시지가가 가장 높은 산단은 1㎡당 120만 원인 부평산단이었으며, 남동산단 113만 원, 주안산단 111만 원, 반월산단 96만 원, 시화산업단지 92만 원 순으로 집계됐다.

2000년 공시지가를 지난 1월과 대비하면 시화산단의 상승 폭(700%)이 가장 컸으며, 반월산단(450%), 남동산단(380%), 주안산단 (221%), 부평산단(166%) 순으로 조사됐다.

5개 산단 용지의 가격 상승 폭은 소재 지역의 평균 공시지 상승률보다 최소 105%p, 최대 571%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땅값은 계속 올랐지만 생산활동을 멈출 수 없었던 공장들은 공장 분할과 신규 지식산업센터 입주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산단으로 몰려 왔다. 2000년 대비 2017년 말 기준 입주업체 증가율은 부평산단 561%, 반월산단 348%, 주안산단 278%, 남동산단 99% 등으로 집계됐다.

인천상의는 산업용지 가격상승에 따라 임대료와 분양가가 덩달아 높아지면서 일부 대형 제조업체는 생산 활동을 멈추고 영세업체에게 ‘공장 쪼개기’를 통한 임대차 사업 등을 벌였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2000년 대비 2017년 말 기준 5곳 산단의 입주업체 당 고용은 부평산단 -73%, 주안산단 -61%, 남동산단 -8% 등 모두 감소했으며, 생산액도 남동산단만 96% 증가하고 나머지 4개 산단은 모두 감소했다.

인천상의는 ▶건축 용적률 상향 등 산단 구조고도화 사업의 규제 완화 ▶산업용지 수요 분산을 위해 조성 중인 남촌산단, 영종항공산단, 송도바이오산단, 계양테크노밸리, 남동에코산단 등의 신속한 조성 ▶부평 미군기지 이전 부지에 도심형 산단 건설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