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휘.jpg
▲ 조광휘 인천시의원

인천국제공항 및 영종·용유지역에 대형종합병원이 없어 응급환자 및 치명적 전염병 발생 시 생명과 직결되는 신속한 대처에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

최근 중동호흡기 증후군(MERS·메르스) 때문에 시민들의 걱정이 크다. 보건당국은 확진자와 접촉한 사람들을 계속 모니터링하는 한편 감염원 파악에 주력하고 있다. 메르스 확진 환자를 인천공항에서 병원까지 태운 택시에 탑승한 승객들의 신원도 모두 파악이 됐으며 비행기로 입국했지만 행방이 불분명했던 외국인 31명 중 21명은 연락이 닿았고 질병관리본부에서 나머지 10명에 대해서도 관계기관 합동으로 추적을 계속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확진 환자가 버스나 공항철도 등 대중교통을 이용했을 경우 그 추적 범위는 더욱 광범위해졌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공항에서의 1차 차단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하겠다.

인천시도 24시간 방역대책반을 꾸리고 인천 거주 접촉자를 모니터링 중이다. 전국 광역시도와 기초지방자치단체도 형편은 마찬가지일 것이다. 보건당국이나 질병관리본부 특히 국립 인천공항검역소에서 해외 검역 전염병의 국내 유입 차단을 위해 철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1차적으로 공항에서의 전염병 국내 유입 차단은 현재로선 한계가 있어 보인다. 이로 인한 시민들의 불안감도 고조되고 있지만 사태를 마무리하기 위해선 적지 않은 사회적 비용도 발생되리라 본다.

 2001년 3월 인천국제공항 개항 이후 17년이 지났다. 최근 3년간 인천공항 실적을 보면 운항 92만8천787편, 여객이 1억6천198만8천659명, 화물 717만7천861t으로 전 세계 60개국 190여 개 도시와 연결 국제여객운송 세계 7위, 국제화물운송 세계 3위, 세계 공항서비스 평가 12년 연속 1위를 차지하는 등 세계 속의 글로벌 리딩공항으로 더욱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가고 있다.

그러나 지난 8월 말 모 신문기사를 보면 인천국제공항 1터미널에서 A(70)씨가 음식을 먹던 중, 기도가 막혀 쓰러졌지만 의료센터 인력이 없어서 불가피하게 2터미널 응급의료센터로 이송해 심폐소생술 등을 받았으나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고 한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기도 하지만 세계 서비스평가 1위인 인천공항에서의 응급의료서비스 체계에 대해 다시 한 번 심도 있게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본다.

 특히 영종지구는 지역주민은 물론 인천공항 이용객, 관련 근무자 등 수십만 명이 상주하는 상황이며 더욱이 최근에 쿠웨이트 방문(8월16일∼9월6일)후 입국 직후 설사 등 증상으로 메르스 의심 환자가 인천국제공항 검역에 의해 확인됐다.

 인천국제공항의 경우 사스, 메르스, 콜레라 등 전염성 질병에 노출될 우려가 큼에 따라 대형종합병원 유치를 통해 1차적인 격리 및 치료 등 신속한 조치로 전염 확산을 차단해 최근 발생한 메르스 사태와 같은 국가 재난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인천국제공항은 공항 이용객뿐만 아니라 만약에 발생할 항공기 사고에 대비해 ICAO국제민간항공기구 협약에 따른 공항 비상계획을 수립해 공항 인근병원과 협정체계를 맺고 운영하고 있으나 정작 응급의료센터가 있는 인천의 상급 종합병원까지는 약 50분∼60분이 소요되는 등 구급차로 응급환자를 이송 도중 골든타임을 놓쳐 소중한 생명을 잃을 수 있는 상황이 심각하게 우려된다.

 생명권은 사람의 생명을 보장받는 권리이며 모든 기본권의 전제가 되는 시원적 권리로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규정하고 있는 헌법 제10조의 규정에 따라 모든 국민은 국가뿐만 아니라 중앙정부, 지방정부 및 산하 공사·공단 등으로부터 생명권은 당연히 보장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덧붙여 효율적인 공항 운영을 위해 누구나 공항을 이용할 때 공항이용료를 부과하고 있다. 1억 명 이용객 돌파 공항서비스평가 12년 연속 세계 1위인 인천국제공항의 신속한 응급의료서비스 체계 확보와 위상을 갖추기 위해서라도 공항당국과 인천시가 나서서 정책적 배려를 통해 인천국제공항 지역에 응급실을 갖춘 대형종합병원 설립은 반드시 필요하다 할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