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9627_233452_1047.jpg
▲ 19일 오전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임석한 가운데 송영무 국방부 장관과 북한 노광철 인민무력상이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 분야 합의문에 서명한 후 악수하고 있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
한강하구가 ‘분쟁의 씨앗’에서 ‘평화의 씨앗’으로 거듭난다.

남북은 군사적 요충지였던 한강하구와 서해 5도 수역을 화해와 협력의 시발점으로 삼는데 합의했다.

그동안 계획에 머물렀던 인천시의 경협사업과 학술 교류도 활기를 띨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19일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에 따르면 남북은 한강(임진강) 하구를 공동이용수역으로 설정한다. ‘공동이용수역’은 남측의 김포반도 동북쪽 끝점에서 인천의 교동도 서남쪽 끝점까지, 북측의 개성시 판문군 임한리에서 황해남도 연안군 해남리까지다. 길이는 총 70㎞이며, 면적은 280㎢에 이르는 수역이다. 남북은 이 수역에 대해 민간 선박의 이용을 군사적으로 보장하고 공동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남북이 함께 진행하는 조사 이후에는 다양한 분야의 공동사업이 추진될 전망이다.

경제 분야에서는 2007년 10·4선언으로 추진됐던 한강하구 골재채취를 비롯해 인천~해주 항로 신설 사업이 힘을 받는다. 남북은 왕래와 접촉 활성화를 위해 북측 선박들의 해주 직항로 이용을 남북군사공동위원회에서 협의해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학술 교류를 비롯한 공동연구 또한 진전될 것으로 보인다.

남북이 같은 유역공동체에 속한 한강하구는 역사와 생태, 문화 분야에서 공유할 수 있는 내용이 많다.

시는 하구의 강화도와 교동도를 ▶역사문화 동질성 회복지대 ▶평화체험 통일교육지 ▶생태환경연결지대 ▶통일경제협력 시범지 등으로 활용하는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한반도의 화약고로 여겨졌던 서해북방한계선(NLL) 인근 서해 5도 주민들도 한시름 덜었다.

남북은 서해 북방한계선 일대를 평화수역으로 만들어 우발적인 군사적 충돌을 방지하고, 안전한 어로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군사적 대책을 취해 나가기로 했다. 서해 해상에서 평화수역과 시범적 공동어로구역을 설정하고, 이곳에 출입하는 어민과 선박에 대한 안전을 철저히 보장하기로 합의했다.

다만, 공동어로구역은 지정 범위와 수산자원, 조업방식 등이 세밀히 조율돼야 하기 때문에 단계적인 협의가 필요하다.

장태헌 백령도 선주협회 회장은 "서해 5도 바다에서 총소리가 더 이상 들리지 않는다는 것 하나만으로 다른 문제를 풀 계기가 될 수 있다"며 "안전문제가 확보됐기 때문에 그동안 어민들이 간절히 요구했던 어장 확장도 꼭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