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반도 새 평화의 이정표가 세워졌다. 포성이 사라진 접경지역에는 교류와 협력의 여정이 남았다. 흩어진 대북사업의 구슬을 인천시가 꿸 때다. 지역 차원의 협력을 위해서는 남북이 상생할 수 있는 사업을 구체화하는 것이 우선이다.

20일 국토연구원의 ‘통일 대비 남북 접경지역 국토이용 구상(2017)’에 따르면 유엔환경계획(UNEP)을 통해 북한이 요구한 우선사업은 산림·수질·대기·토지·생물다양성 분야의 16개다.

대표적으로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에 담긴 저탄소녹색성장지역 조성사업을 꼽을 수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이 분야에 8조9천509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인천은 지역에 위치한 녹색기후기금(GCF)과 연계한 대북지원책을 추진할 수 있다. 2012년 송도 사무실을 유치할 당시 GCF 연계사업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실제로 이뤄지지는 않았다.

에너지 관련 사업은 강화군의 신재생에너지 특화발전지구와 옹진군 덕적 조류발전단지 개발이 있다. 덕적도 조류발전단지는 국토부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과 시의 ‘에너지 신산업 2025’에도 포함된 내용이다.

서해5도 수역은 세계 평화 협력의 상징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 서해5도는 연평해전과 연평도 포격, 천안함 사건 등 휴전 이래 가장 분쟁이 많았던 곳이다.

정부 구상에 담긴 세부 계획은 접경지역에 평화대학 유치와 국제평화회의장 건립 터 조성 등이다. 시는 타 접경지역에 앞서 백령도(솔개지역)부터 대청도와 연평도 일대를 대상지로 한 평화 협력 공간 조성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한강하구 강화지역에는 생태·평화생명·안보관광·역사문화관광벨트 조성이 가능하다. 이 사업은 접경지역 시장·군수협의회에서 나온 지역 연계사업이다. 강화도는 역사문화 동질성 회복지대이자 평화 체험·통일의 교육지로 적합하다. 한강하구와 서해 갯벌을 매개로 한 생태환경 연결지대도 될 수 있다.

‘서해 남북 평화 연도교’ 구축 역시 한강하구 공동 이용과 함께 추진될 수 있다. 영종도~강화도~교동도 47.25㎞를 연결하는 것을 구상 중인 시는 현재 영종도~신도~강화도 연도교(14.6㎞) 건설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평화 크루즈 사업은 강과 연안을 끼고 있는 인천의 특화산업이 될 수 있다. 지난 19일 한국관광공사 경인지사 개소식에서는 평화관광 상품과 관련해 평화의 남북 크루즈 유치 계획 등이 언급되기도 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