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데이터 기반 행정 구축사업에 효율성 문제가 제기됐다.

기존 데이터의 활용도가 낮은 데다 중복 논란이 나와 마음만 앞선 데이터 정책을 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시에 따르면 원도심스마트정보담당관실의 ‘2019년 스마트 GIS 인천’ 내년도 사업이 타당성 문제로 일부 조정됐다. 시가 전국 최초로 구축한 스마트 GIS는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한 자체시스템에 모기 서식처, 생활물가, 청소차량 이동 경로 등의 정보를 덧 입혀 제공하는 서비스다.

담당 부서는 당초 내년 신규 사업으로 콘텐츠 구축 분야 4개와 지도(Map)시각화 분야 5개를 포함한 총 16억 원 규모의 예산을 신청했다. 이에 대해 심의과정에서 낮은 서비스 활용률과 관련 부서와 사전 협조, 타 서비스 중복 등의 문제가 불거졌다. 2017년 구축된 스마트 GIS 홈페이지에는 41개의 주요 앱이 등록돼 있다.

이 중 일부 콘텐츠를 제외하고는 활용률이 저조하다. 관내 시설물 조회시스템 90건, 교통량 및 속도 자료 통합관리 및 시각화 92건, 현수막 게시대 통합지도 34건, 식중독 대비 업소점검지도 21건 등이다.

행정에서도 이 플랫폼이 크게 활용되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30개 관련 부서에 사업추진 관련 의견조회를 한 결과, 타 부서는 콘텐츠 중복 의견을 냈다. 도시개발 데이터베이스는 도시계획정보체계(UPIS)에서 이미 추진하고 있다. 격차기반 인구통계 DB는 국토교통부에서 시범연구를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시재생 시민플랫폼과 DB구축 역시 시가 추진 중인 ‘원도심 균형발전계획수립용역’에서 도시재생포털을 구축하는 계획을 검토 중이다.

근본적으로는 시의 데이터 구축 체계와 부서간 협업이 부실한 것이 문제로 꼽혔다. 커뮤니티 지도, 시민건강지도 등 시민 공모를 통해 추진 중인 콘텐츠도 있지만 이를 시민들이 활발하게 이용하도록 할 묘안은 마땅치 않다. 이처럼 여러 문제가 불거지자, 심의 부서에서는 자체 절감한 12억7천만 원에서 일부 사업을 조정해 7억 원 상당이 내년도 예산으로 타당하다는 의견을 보냈다.

예산 편성에 따라 디지털 가상도시 콘텐츠 구축, 전통시장 상세지도 맵 시각화 등이 우선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스마트 GIS 사업에 대해 올해 하반기까지 중기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행정에서 필요한 실시간 정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부 통계 이외에도 스마트 GIS와 같은 플랫폼이 필요하다"며 "내부적으로는 신규 직원들을 교육하고, 외부에는 대시민 홍보를 확대해 활용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