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다문화 사회라고는 하지만 출신 국가가 다른 외국인들이 고국이 아닌 타국에 정착하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닐 게다. 우리도 이미 국내 거주 외국인 200만 명 시대를 넘어섰다. 하지만 여전히 외국인 노동자들을 비롯해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들이 한국사회에 정착, 정상적인 생활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무엇보다 언어가 다르고 생활 습관 등 제반 문화가 다르기 때문이다.

경기도내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의 인명 사고가 잇따르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소식이다. 보도에 따르면 건설현장의 외국인 노동자 사고 건수는 내국인보다 크게 앞서는 상황이라 한다. 산재보험에 가입된 외국인 노동자의 산업재해 발생률은 1.16%로, 내국인 노동자 0.18%보다 6배가량 높았다.

그러잖아도 ‘산재왕국’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우리 사회다. 누차 강조하지만 근로자의 희생인 산업재해 위에 급성장한 경제라면 차라리 더딘 것만 못하다. 특히 상당수의 외국인 노동자가 산재보험에 가입돼 있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실제 산재 건수는 이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사업장의 안전교육이 언어와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채 시행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건설현장 관계들의 얘기다.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지적이다.

외국인 노동자들이 우리 산업의 역군이 된 지도 오래 전이다. 이제는 사업장 어디를 가도 외국인 노동자 없이는 우리 산업을 이야기할 수 없을 정도다. 코리안드림을 안고 이른바 힘들고 어렵고 더럽다는 업종임에도 마다하지 않고 종사하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들이다. 이들이 우리 국민과 결혼해 이 땅에서 생활하면 우리 국민이다. 외국인 인권 문제와 처우 문제가 거론되는 것도 한두 번이 아니다. 타국 정착의 어려움은 과거 우리도 겪은 바 있는 미국 하와이와 멕시코 이민 역사가 말해주고 있다. 가까이로는 1970∼80년대 열사의 사막 중동 건설 현장에서의 외화벌이 시절 근로의 고충도 있었다. 이제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한국 사회에 정착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도록 정책을 통해 뒷받침돼야 하겠다. 편견 없이 외국인을 대하는 것도 그 중 하나다. 국내 거주 외국인 노동자들이 한국 사회에 조기 정착하도록 모두가 나서야 하겠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