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jpg
▲ 2017 몽골 인천 희망의 숲 조성사업에 참여한 인천 시민 자원봉사자들과 몽골 현지 주민들. /사진 = 기호일보 DB
몽골 희망의 숲 조성에 나서는 인천시 분위기가 지난해와 딴판이다. 10주년을 맞아 약속한 시민 중심의 협치를 키우기보다는 명맥 잇기에 급급한 모양새다.

2일 인천시와 인천희망의숲시민협의회 등에 따르면 오는 12일 몽골 울란바토르시 성긴하이르한에서 희망의 숲 조림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인천 희망의 숲 조성사업은 2008년 민간 주도의 사막화 방지 사업에서 2013년 민관 공동 협력으로 발전했다. 지난해에는 10주년을 맞아 시민들과 지역 기업, 단체 등 각계각층의 관심과 참여가 이어지면서 인천시민의 고유 사업이 되는 듯했다. 인천시 환경녹지국과 인천시의회, 인천공항공사, 인천상공회의소, 대한전문건설협회 인천시회 등 지역 주요 기관·단체는 물론 인천 소재 어린이집·유치원과 사회적 기업이 희망의 숲 사업에 동참했다. 개인 기부자도 195명에 달해 개개인의 관심도 높았다.

올해 상황을 보면 모금을 통한 시민 참여나 사전 홍보활동의 온도 차가 확연하다.

지난해 모금액이 1억 원에 달했던 것에 비해 올해는 모금활동이 공식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다. 시가 몽골 현지에 신규 조림부지를 확보하는 과정이 9월에야 끝나 캠페인이 진행될 수 없었다. 또 시 예산이 2억 원에서 3억 원으로 증액되면서 사업비가 부족한 상황도 아니다. 하지만 지역사회 전체가 공감대를 형성하는 시민 참여의 의미는 퇴색됐다. 최근 몇 년간 한 대학을 중심으로 참여가 이뤄지다 보니 지역 학생들과 일반 시민들에게는 크게 알려지지 않은 한계도 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몽골 사업을 추진할 정식 기구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모였지만 진척이 없다. 희망의 숲 사업은 매년 시가 공모를 통해 사업자를 재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10년 역사를 기록했음에도 체계가 갖춰지지 않은 이유다.

정식 기구가 없다 보니 탄소배출권(CDM) 등 시 기후변화 정책과 연동하거나 기후변화 교육 등 시민 역량을 강화하는 데 역부족이라는 아쉬움이 나왔다. 시교육청과 연수구·미추홀구·중구 등 기초단체에서 각각 추진 중인 몽골 지원·교류사업과 연계성도 떨어진다. 특히 교육청은 지난해 몽골 튜브아이막 교육청과 협약을 맺고 학교단위의 교류도 활발하다. 몽골 희망의 숲과 연계해 학생·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 홍보를 충분히 진행할 수 있는 여건이다.

시민사회와 전문가들은 지난해 4월 전문가 좌담회를 열어 사업 체계화를 위해 (가칭)녹색재단 등 기구를 설립해야 한다고 했다. 정식 민관협력사업으로 지역사회 역량을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시민협의회의 한 관계자는 "몽골 희망의 숲은 녹색기후기금(GCF) 본부 유치 이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인천시의 첫 공적개발원조(ODA)로 상징적인 사업이다"라며 "10주년을 맞아 지속적인 조직을 마련하자는 공감대가 형성됐지만 논의가 크게 진행된 것이 없어 아쉽다"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희망의 숲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