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무인.jpg
▲ 무인민원발급기. /사진 = 기호일보 DB
인천지역 공공기관 무인민원발급기가 장애인들의 편의를 고려하지 않은 채 운영되고 있다. 절반 이상의 무인민원발급기가 장애인 이용자들을 위한 점자패드나 음성안내 등 추가 서비스를 갖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행정안전부 고시에 따르면 공공기관에 설치되는 무인민원발급기는 장애인 키패드, 시각장애인 음성안내, 청각장애인용 확인메시지 제공, 점자라벨, 이어폰 소켓 등을 최소한의 구성요소로 한다. 여기에 촉각모니터와 화면확대기능, 휠체어 사용자 조작 등은 필요에 따라 추가하거나 대체로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인천지역 내 무인민원발급기는 이를 대부분 지키지 않고 있다.

지난 8월 기준 ‘지자체 무인민원발급기 장애인 접근성 현황’ 자료를 보면 인천지역 무인민원발급기가 100% 갖춘 표준 구성요소는 청각장애인용 확인메시지 제공 서비스뿐이었다.

현재 인천지역에 설치된 무인민원발급기는 총 129대다. 이 중 장애인 키패드는 절반도 안 되는 51대(40%), 시각장애인 음성안내는 64대(50%), 점자라벨은 55대(43%)에만 적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모두 전국 평균(54%, 53%, 44%)에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선택규격 장치 설치 비율은 더 낮다. 휠체어 사용자 조작기기는 49대(38%), 화면확대기능은 33대(26%), 촉각모니터는 단 27대(21%)에만 적용된 상태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시각장애인이나 휠체어를 탄 이용자들은 무인민원발급기 이용에 큰 불편을 겪는다.

저시력 시각장애인인 A씨는 최근 무인민원발급기를 이용하다가 화면 내 카테고리를 잘 구분하지 못해 애를 먹었다. 해당 기기는 별도의 점자패드 없이 화면을 터치하는 방식이라 글자를 제대로 읽을 수 없었다. 또 결제를 위한 지폐·동전 투입구, 지문인식기를 찾을 수 있는 점자도 따로 표기되지 않아 시간이 지체됐다.

인천의 경우 무인민원발급기 설치 및 관리는 각 군·구가 자체적으로 담당한다. 2012년 이전에 생산된 기기는 대부분 비장애인 이용자 전용기기로, 장애인들의 접근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인천의 한 구청 담당자는 "비교적 과거 설치된 무인민원발급기 비율이 높아 통계에서는 장애인들의 접근성이 낮은 것으로 본다"며 "최근에는 장애인 이용자들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기기 위주로 설치하는 등 이들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개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희연 기자 khy@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