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고용동향이 최악의 상황은 면한 것으로 나오면서 정부 당국은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지만 이를 경계하는 목소리는 더 크게 들린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여전히 취업자 증가 폭은 8개월째 10만 명 아래에 머무르고, 실업률은 3.6%를 벗어나지 못하는 등 고용상황 개선과는 거리가 먼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마이너스 고용까지 우려됐던 상황에서 9월 취업자 증가 폭이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4만5천 명이 늘어난 데다 고용 증가 폭이 직전 2개월보다 나아졌고 전월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을 뿐 전체 취업 지표는 여전히 좋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다 보니 착시현상을 경계하는 주문이 쏟아지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도 9월 취업자 수 증가 폭이 늘어난 요인에 대해 추석과 관련한 특수와 폭염 해소에 따른 일시적 상황들이 일자리 감소세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추세가 아니라 계절적 요인과 일시적 요인이 복합해 작용한 결과일 뿐이라는 얘기인 것이다. 이를 대변하듯 취업자 변동 내용을 보면 재정이 투입된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에서는 고용이 늘었지만 제조업, 도·소매업, 음식 숙박업에서는 취업자가 감소해 일자리의 질은 여전히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엄밀히 말해 공무원 증원과 공공 알바 증원에 힘입은 바가 큰 것이다. 실업자 수가 9개월 연속 100만 명을 상회하고 있고 실업률도 3.6%로 9월 기준으로는 200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낸 것은 예사롭지 않다. 9월 고용률은 66.8%로 4개월 연속 하락했고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도 0.1%p 하락했다.

특히 우리 사회의 중추가 돼야 할 40대의 일자리 감소세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고용지표가 악화일로로 치닫자 정부가 공공기관에 채근해 단기 임시 일자리를 급조해 고용통계를 반짝 개선시켰다는 의구심을 제기하고 있다. 그만큼 정부 당국의 경제정책을 신뢰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취약계층의 맞춤형 일자리와 고용 창출력 강화를 위한 대책을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히고 나섰지만 여전히 미덥지 못하다. 고용에 돌파구를 마련하려면 정부 경제정책에 대한 믿음을 주는 일이 우선이고 기본이다. 일자리는 기업이 원하는 환경이 뒷받침 됐을 때 투자가 촉진되고 일자리가 만들어지는 경제 선순환의 기본원리부터 다시 생각해 봐야 할 때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