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글로벌 증시가 일제히 추락했다. 미국의 국채 금리 상승과 IT 업종 실적 악화 전망,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 같은 악재들이 겹치면서 미 증시가 급락했고, 아시아와 유럽 증시까지 도미노 패닉에 빠졌다. 이날 코스피도 외국인 매도가 하락세를 이끌면서 전일보다 98.94p 내린 2천129.67에 마감, 7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다행히 다음날인 12일에는 8거래일 연속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로 반등에 성공했지만, 이것이 회복세로 이어질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비관적 전망이 우세하다. 국내 증시가 오르려면 무역분쟁 완화와 환율 안정, 기업실적 개선 등 긍정적인 변화가 뒤따라야 하는데, 오히려 부정적인 요소들만 가득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위기는 특히나 우리에게 부담으로 다가온다. 11일 중국 증시의 벤치마크인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무려 142.38p 폭락한 2천583.46으로 장을 마쳤다. 혹여라도 이번 여파로 ‘중국의 가계·기업·정부 부채와 그림자금융(비은행권 대출), 부동산 버블’의 부실까지 수면 위로 떠오른다면, 상상하기조차 힘들 정도의 후폭풍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전체 수출의 25%를 의존하고, 그것도 80% 정도가 중간재인 수출 구조에서 중국의 위기는 우리에게 재앙이나 다름 없다.

 정부와 산업계가 총력을 다해 베트남 등 아세안에 대한 신남방정책을 서둘러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국내도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사상 최대 규모의 가계부채와 호전될 기미 없는 내수침체, 투자감소, 고용참사 등 어느 하나 녹록지 않다. 상황이 이러한데도 당정의 책임자들은 "과거에도 경제가 좋았다는 말을 들어보지 못했다"거나 "민간 연구기관들의 ‘경기침체’ 진단에 동의하지 않지만…"이라며 현실과 동떨어진 얘기만 한다. 나라가 누란의 위기인데 여론에 좋지 않다고, 진영에 반하는 정책이라고 수수방관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진정으로 혁신성장을 원한다면 산업규제부터 네거티브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 뒤떨어진 노동·금융·공공 부문을 개혁하고, 소득주도성장 같은 정치실험도 자제해야 한다. 지금은 정부의 위기관리 능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는 시기다. 이 파고를 무사히 넘기려면 진영 논리도 넘어서야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