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인천시 본청 5층에 복도에 기록물로 보이는 문서들이 쌓여있다. 시는 지하에 384㎡ 면적의 서고를 운영하고 있지만 보관공간이 부족한 상태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 17일 인천시 본청 5층 복도에 기록물로 보이는 문서들이 쌓여 있다. 시는 지하에 384㎡ 면적의 서고를 운영하고 있지만 보관공간이 부족한 상태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인천시 역사라 할 수 있는 공공기록물이 갈 곳 없다. 기록관은 기존 기록물을 쌓아두는 것만으로도 이미 포화상태다. 청사 곳곳에 방치됐거나 무단폐기된 인천역사를 보관할 기록원 설립이 시급하다.

17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청사 지하에 있는 기록관 순수 서고의 면적은 384㎡다. 공공기록물 서고 전체 필요 면적 3천23㎡에 비해 턱 없이 좁다. 느는 기록물 생산량을 감당하려면 공간 확충이 필요한데도 인천시는 이 문제를 뒷전으로 미뤘다. 2007년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의 의무화로 한 때 검토한 인천기록원 설립은 기본계획(2009년)만 있을 뿐 흐지부지 됐다.

지난해 신청사 건립이 추진되면서 본청 지하 전체를 기록관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나왔다. 이 역시도 신청사 건립이 무산되면서 답보 상태다. 공간 부족을 해결하지 못한 사이 청사 내 기록물 적체는 계속되고 있다. 이날 본청 5층 복도에는 90년대 기록물로 보이는 자료들이 쌓여 있었다.

현재로서는 신청사 건립과 관계 없이 지하공간을 일부 정리해 기록관을 확장하는 것이 비교적 쉬운 방법이다. 청사 지하의 체력단력실 등 일부 시설들을 다른 곳으로 이전하는 것이 전제다.

하지만 이 같은 대책은 근본적인 해결 방법이 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공공기록물관리법에 의해 기록원 체계를 갖추게 되면 기초단체와 직속기관, 사업소의 기록물까지 보관 범위가 늘어나서다.

시와 기초단체 보존 수요만 보더라도 현재 53만 권에서 20년 후 93만여 권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시청각기록물이나 행정박물 전용서고도 필요하다. 기록원 체제를 제대로 갖추기 위해서는 결국 독립적인 공간이 요구된다. 문제는 예산이다. 기록원 건립 사업비는 2009년 검토 당시 486억 원으로 추정했다.

재원대책이 나온다면 예산을 이유로 무산된 루원시티 제2청사 입주, 또는 공동도서관 건립과 연계해 기록원을 별도로 세우는 것도 검토해 볼 수 있다. 시립도서관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추진 중인 공동도서관의 경우 서구를 비롯한 4개 지역에 토지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 상태다. 이밖에도 제3의 활용 가능부지나 시설, 적합한 규모와 장소 등 구체적인 추진계획은 기록원 설립 연구를 통해 나와야 한다.

올해 초 인천연구원 정책과제에 기록원 설립 관련 연구가 올라왔지만 예산이 많이 들어간다는 이유로 선정되지는 않았다.

한편, 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는 이날 인천시의 공공기록물 무단폐기 보도<본보 10월 8일 1면 보도>에 대해 기록물 관리를 철저히 할 것을 시에 주문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기록물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