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jpg
▲ 지난 17일 서울도서관(서울시 구 청사) 3층 옛 시장실에 '문서로 본 서울특별시 60년'이 전시돼 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5g의 기록물 한 장. 인천시민에겐 낡은 종이지만 서울시민에게는 도시의 역사이자, 시민의 역사다. 공공 기록을 역사로 바꾸기까지는 그 의미를 찾고 시민에게 알리려는 행정의 노력이 있었다.

지난 17일 찾은 서울시 구청사 3층 ‘서울의 기억이 머무는 곳’에는 도시 역사를 소개한 기록물이 전시됐다. 옛 시장실에는 1946년부터 2003년까지 역대 시장이 결재한 기록물 사본을 공개했다. 이곳에서 시민들이 자유롭게 확인할 수 있는 기록물은 총 1천500여 건이다.

‘문서로 본 서울특별시 60년’ 코너는 시장과 서울시 공무원, 시민들이 함께 심의하고 결정한 기록들을 볼 수 있다. 신청사 6층에도 기록물 10편이 전시돼 있다. ‘세상을 바꾼 문서들’이라는 주제로 민선 1기(1995년) 이후 서울의 환경, 복지, 제도, 행정에 관한 기록물이 있다. 난지도 생태공원과 반값 등록금, 무상급식을 결정한 기록물들은 시민과 노력해 만든 역사의 한 페이지다.

이에 반해 그동안 인천시 기록물은 정보공개 대상에 불과했다. 시민이 요구해야만 제공하는 수동적인 방식이었다. 시민들이 공공기록물을 통해 인천의 이야기와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곳도 마땅치 않다.

보관할 공간 마련도 시급하지만 개방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함께 가야 하는 이유다.

기록원을 설립한 경상남도의 경우 전시실을 만들고 학생과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기록원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내년에 문을 여는 서울기록원 역시 시민 기록을 수용하는 등 기록물의 가치를 시민과 공유한다.

인천에서도 행정과정에서 생산한 기록물에 지역 역사를 입히는 작업이 요구된다. 서울시가 2013년 기획한 ‘세상을 바꾼 문서들’처럼 시민이 알아야 할 역사적 기록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을 엮어낼 필요가 있다.

기록물로 설명하기에 부족한 도시 역사는 연구보고서와 간행물, 도서 등과 연계해 시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서울도서관은 서울자료실과 서울기록문화관이 한 층에 있다. 자료실에는 서울시와 관련된 정부와 시 간행물, 민간출판 도서 등 3만7천여 권을 비치했다. 지하에 있는 시민청 ‘서울 책방’에는 서울의 다양한 모습을 담은 책들을 판매한다.

이 같은 공간을 조성할 구상이 인천에 없었던 것은 아니다. 2009년 세운 ‘인천시 지방기록원 설립·운영 기본계획(안)’에는 전시공간과 열람실 등이 포함됐다. 기존 종이기록물에서 전자, 시청각, 전시기록물로 기록관리 패러다임을 바꾼다는 내용이다. 이 계획이 언제 시행될 지는 10년 가량 지난 지금까지도 미지수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공공기록물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