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 한강 하구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서 조류인플루엔자(AI) 항원이 검출됨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항원이 검출된 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10㎞ 지역을 ‘야생조수류 예찰지역’으로 설정하고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고 한다. 해마다 AI로 큰 피해를 입은 터라 AI 발생과 확산에 대한 우려감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앞서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3월 사이 전국에서 22건의 AI가 발생했고, 이 중 경기지역에서는 5건의 AI가 발생한 바 있다. 도에 따르면 현재 도내 농가 4천17곳에서는 닭, 오리, 메추리 등 4천116만 마리가 사육되고 있다. 이에 경기도는 AI 선제 방역을 위해 특별방역 대책기간을 내년 2월까지로 설정, 방역태세 확립에 돌입했다. 도는 오리농가 사육 제한 확대 추진에 10억 원, 산란계 농가 앞 통제초소 조기 운영에 14억 원을 투입한다.

 또 산란계 농장 알 및 분뇨 반출을 중점 관리하는 대책을 추진함으로써 AI 발생 최소화에 주력하기로 했다. 아울러 12개 시·군 및 86개 읍면동을 중점방역 관리지구로 지정하고 이 가운데 최근 3년 동안 2회 이상 AI가 발생한 평택·포천 등 반복 발생 시·군에 거점소독시설을 운영할 계획이다. 동시에 가축분뇨 처리업체, 식용란 수집 판매업체, 가금류 도축장 등 축산 관련시설은 소독설비 가동 여부를 수시 점검하고 ‘1일 1차량에 대해 1농가만 방문’하도록 했다. 계란은 시·군별로 지정된 거점 계란 환적장을 통해서 주 2회 지정 요일에 반출한다는 방침이다. 문제는 AI의 피해가 연례행사처럼 되풀이되고 있지만 근본대책이 없어 답답하기만 하다. 새떼를 따라 날아서 유입되는 바이러스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현실이 그렇다 해도 가능한 한 야생조수류의 농가 접근은 막아야 한다.

 농가 피해는 물론 지자체의 살처분 매몰비용, 정부 보상비용 등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주는 AI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말처럼 쉬울 수는 없겠지만 꼼꼼한 방역과 축사 관리를 통해 병원균이 뚫고 들어올 틈새를 미리 차단하는 것이다. 철새도래지 탐방객은 물론 일반인들의 발걸음을 봉쇄함으로써 원천적으로 원인 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농가의 협조도 필수조건일 것이다. 빈틈없는 초동 방역만이 피해 규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