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뮤지엄파크 부지에 인천기록원을 함께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광용 인천시 기획조정실장은 지난 19일 ‘(가칭)인천뮤지엄파크 기본계획 및 타당성 조사 최종보고회’에 참석해 기록원 설립 필요성을 언급했다.

김 실장은 "우리 시 기록물(관리)에 문제가 있었다"며 "(현재 계획 중인) 콘텐츠 빌리지 보다는 기록물 등 문화 콘텐츠 시설을 더 추가하는 것도 한 번 생각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제안은 기본계획에 담긴 ‘콘텐츠 빌리지’로 인해 사업타당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에서 나왔다. 1만4천㎡ 규모로 계획된 콘텐츠 빌리지는 문화 콘텐츠 관련 기업과 스타트업을 위한 지원시설이다.

건립비용은 민간투자방식으로 조달한다. 그는 핵심 시설인 박물관과 미술관 등에 민간자본을 투입해야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고 봤다. 이후 콘텐츠 빌리지 자리에 기록원을 넣으면 1천622억 원으로 예상되는 국·시비 부담을 덜 수 있다는 것이다. 기록원은 정책적으로도 경쟁력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2007년 ‘공공기록물관리법’ 개정에 따라 지방기록원 설치는 의무다. 정부기조에 맞춰 서울시와 경상남도 등 기록원 설립을 확정한 타 지자체에서는 공공기록물을 시민과 공유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하고 있다.

인천 뮤지엄파크는 이미 기록원 설립이 검토됐던 곳이기도 하다. 2009년 ‘인천시 지방기록원 설립·운영 기본계획(안)’에는 남구 용현·학익구역 1블럭 복합문화단지 예정부지에 복합건물을 설립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기존 계획된 박물관, 미술관 등과 연계해 전시기능을 강화하면 문체부 사전평가에도 대비가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시는 내년 초 문체부 사전평가를 받을 예정이다. 문체부 사전평가 결과는 기재부 경제성 분석, 행안부 지방재정투자심사 때도 공유된다. 콘텐츠 빌리지의 경우 시가 인천항 8부두에 추진 중인 상상플랫폼 콘셉트가 일부 겹친다. 상상플랫폼은 3D홀로그램·가상현실(VR)·영상스튜디오·게임 등 첨단문화산업과 드라마·영상·음악 등 지역 문화·공연, 관광제품 생산·판매시설을 갖춘다.

이에 대해 유지상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콘텐츠 빌리지는 체험, 일자리와 연계한 문화활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라며 "교육적 측면에서 오는 미술관이 아니라 여가가 어우러지도록 예술공원과 함께 계획했다"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