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국.jpg
▲ 정세국 미추홀푸른숲 사무국장
지난 10년간 황사와 사막화 방지를 위한 몽골 ‘인천희망의 숲’ 조성 활동이 점차 변질되어 가고 있다.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이 과거의 시행착오를 살펴볼 여유도 없이 표면적인 형태만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산화탄소가 대량 발생하는 비행기를 타고 날아가 조림활동을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한 객관적인 공론화 결과물이 없다.

 이 활동의 목적은 기후변화 대응과 황사, 사막화방지 등이고 몽골이 더 이상 사막화가 진행되지 않는 상태가 실질적 목표다. 전 국토의 85% 이상이 사막화 되고 있는 몽골 정부는 상황의 심각성에 대해 그린벨트 약 3천700㎞, 총면적 20만 ha를 30년간 3단계로 나눠 추진한다는 계획 수립 이후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었다. 더구나 6번의 IMF자금 수혈로 불요불급한 부분 이외는 예산 투입이 없고 그린벨트 예산은 우선순위에서 밀려 있다.

 우리나라 산림청은 2007년부터 몽골 환경녹색성장관광부과 함께 한몽 그린벨트 조림사업을 시작했다. 축적된 황폐지 복구와 조림 기술 전수를 목적으로 10년간 950만 달러를 투입해 황사발원지 생태복원 조림사업을 추진하는 일이다. 그러나 10년이 지난 2016년 철수를 검토하다가 지금까지 조림해 놓은 수목의 관리권 이전 문제 등으로 5년 연장하였으나 몽골정부의 관리 비용 문제 등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철수 이후 조림지역을 관리하지 않을 경우 조림숲이 울창하다면 여우나 늑대의 은신처가 되어 가축에게 타격을 주므로 목동은 이런 수목지를 방화할 것이다.

 이런 문제를 두고 서울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 NGO인 푸른아시아가 해법을 제시했다. 단순한 조림으로 그치지 않고 고용된 주민들이 조림지로부터 지속적으로 소득을 얻을 수 있도록 협동조합 운영을 통해서다. 조림해 놓은 차차르간 등의 열매를 가공 판매해 개인 소득을 얻게 함으로써 우리나라 인원이 철수한다고 하더라도 마을이 자립경제의 틀을 갖추도록 하고 있다. 이 모델은 세계은행이 시상하는 환경분야의 노벨상이라고 하는 ‘The land of life Award‘를 2016년에 수상하면서 조림 활동에 대한 방향을 보여 주었다.

 지금까지 인천의 시민활동은 푸른아시아의 한 파트너로서 있었지만 지난해 10주년 기념식 이후 이런 관계가 소원해지게 됐다. 우선 울란바토르 시내의 신규 조림지부터 재검토돼야 한다. 그린벨트의 상에 있으면 다행이나 그렇지 않다면 목적을 되돌아보아야 한다. 그리고 그 지역에 주민이 함께 할 수 있어야 한다. 할 수 없다면 환경 난민이라도 불러 와야 한다. 2009년에도 울란바토르 시내에 조림지를 가져야 한다는 일부 견해에 따라 약 3만 그루 이상을 심고 관리원만 상주시켰으나 여름철 톨강 범람으로 인해 전부 고사하고 만 경험이 있다. 수원시에서 푸른아시아를 통해 진행하고 있는 에르덴 지역은 아무도 살지 않는 곳이었으며 10여 가정을 이전시켜 차차르간 재배를 집단운영토록 하고 있다. 5월에 인천시민들이 조림을 하러 가기 이전까지 울타리를 치거나 구덩이를 파 놓는 등의 실질적인 일은 매월 급여를 받는 고용된 주민들이 하는 일이다. 우리가 한국으로 돌아간 이후에는 매주 물을 주면서 조림지를 관리 운영하는 일을 통해 함께 동고동락하는 분들이다. 이분들이 경제적인 소득을 얻게 해주어야 철수 후에도 조림지가 유지될 것이다. 푸른아시아에 모든 것을 맡기기에는 한계가 있으나 아직 그 이상의 해법은 나와 있지 않다. 올해 조림지로 새로 결정된 부지의 관리를 조경사업자에게 맡긴다는 것은 사실 이런 모든 것을 포기한 상태를 의미한다. 시민단체 운영과 비교하면 업자들은 공익적 측면보다는 기업 이익이 획득되도록 하는 일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사업자들에게 조림지의 지속성을 대행토록 하는 무한도전(?)이 아니길 바란다. 현장 관리와 철수 이후까지 주민이 프로그램에 정착되도록 하는 것은 인적 노력 없이 ‘사업’ 전개로만 마칠 수 있는 일은 결코 아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