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현.jpg
▲ 정해현 용인동부경찰서 동백파출소 경장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 5천120만 명, 전국 경찰관 수 11만6천584명으로 경찰관 1인당 약 440명의 시민을 담당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지역에 따른 편차가 심한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면, 상대적으로 불균등한 치안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무엇일까? 부족한 인력으로 모든 치안 공백을 메우려는 것보다 그 역할을 나누고 정보를 공유하며 시민사회 속으로 들어가 경찰과 시민의 유기적인 소통과 융합을 이뤄내야 한다. 경찰의 가치는 바로 시민과의 관계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시민과의 관계에서 늘 꽃길만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몇 해 전 부산에서는 질주하는 자동차에 끝까지 매달려 마약범을 검거한 일명 ‘다이하드 경찰관’의 모습에 시민들은 열광했다. 하지만 일 년 전 ‘어금니아빠’ 이영학 사건에서는 경찰의 안일한 초동대응이 도마 위에 올랐고, 음주운전 등 각종 사건사고에 연루된 경찰관이 심심찮게 뉴스에 오르내리며 시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었다.

 이제 경찰은 중요한 가치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직면해 있다. 지난해 출범한 ‘경찰개혁위원회’에서는 시민에게 신뢰받는 인권경찰로 거듭나기 위한 실질적 행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무엇보다 가장 큰 변화는 주민밀착형 치안활동에 중점을 둔 ‘자치경찰제도’이다. 10월 21일은 ‘제73주년 경찰의날’이었다. 안일한 부실 경찰이 아니라 모두가 시민을 위한 다이하드 경찰로, 사건사고로 고개 숙이는 경찰이 아니라 시민에게 인정받는 떳떳한 경찰로, 과거의 잘못을 반성하고 새롭게 거듭나는 인권경찰로, 시민에게 더욱 밀접하게 다가가는 자치경찰제도 정립의 원년으로 경찰의 새로운 가치가 생겨나게 될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