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jpg
▲ 인천시가 혁신성장 프로젝트의 하나로 국비지원을 받아 조성하려는 콜드체인 클러스터 대상지에 들어선 송도소각장과 주변 체육시설부지 전경. /사진 = 인천시 제공
‘경제자유구역, 인천신항 배후부지.’ 송도광역생활폐기물시설 터(26만6천㎡)를 노리는 세력들이 내세우는 이 땅의 강점이다.

이들은 생활쓰레기소각장과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 등을 다른 곳으로 옮겨 콜드체인(냉동·냉장화물) 단지로 바꾸려고 한다. 약 1조 원의 가치가 있는 이 땅을 통째로 투자유치에 쓰자는 논리다. 벌써 냉동업체 A기업과 미국계 B기업이 합작하기로 논의까지 이뤄졌다.

송도광역생활폐기물시설 이전은 올해 초 인천시 재정건전화 사업을 하면서 세원 확보 차원에서 처음 논의됐다. 시 재정관리담당관은 이 땅을 팔고 송도소각장 등을 이전하면 재정건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했지만 자원순환과의 만류로 지난 5월 그만뒀다.

잠잠하던 송도소각장 이전설은 6·13 지방선거 앞뒤로 또다시 고개를 들었다. 기획조정실이 투자유치과, 항만과 등과 협의해 외국인 투자유치를 추진한 것이다. 인천의 광역소각장과 음식물처리시설 등이 흘러넘쳐 주민 불편(악취 등)을 일으키는 사실은 괘념치 않았다.

송도소각장과 청라소각장은 각각 하루 필요용량이 550t과 823t이지만 현재 하루 처리용량은 모두 420t밖에 안 된다. 생활쓰레기가 쌓이고 있는 실정이다. 2030년에는 송도소각장 610t, 청라소각장 785t 등 총 1천395t이 넘어 소각장 증설은 꼭 필요하다. 1995년 송도와 청라에 광역소각장을 지을 때 송도 900t, 청라 750t으로 계획했지만 인구 증가 추세에 맞춰 각각 420t만 지었다.

음식물처리시설은 송도·청라 모두 2016년 기준 하루 필요용량이 1천204t이지만 840t밖에 처리하지 못하고 나머지는 쌓인다. 2030년에는 1천344t으로 늘어 하루 504t의 음식물이 넘친다. 때문에 최근 송도·청라지역은 악취 민원이 늘고 있다.

시는 내년 송도소각장 증설 기본계획을 세운다. 당초 계획대로 900t까지 처리용량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내구연한이 2024년까지인 송도소각장의 신설(또는 대보수)을 위해서도 내년에는 시작해야 한다. 최소기간이 약 5년이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환경부는 인천의 광역소각장 증설 필요성에 동의하고 협의도 마쳤다.

이런데도 시 일부 부서는 투자유치의 꿈을 버리지 못했다. 담당부서와 협의하지 않은 채 송도소각장 내구연한이 다가온다는 소식에 ‘윗분’들을 찾아가 콜드체인 클러스터를 역설한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의 투자유치 성과에 비해 초라한 자신들의 성적표를 고쳐 보겠다는 속내로 비춰진다.

박남춘 시장은 당선인 시절 인천항만공사(IPA)가 한국가스공사 냉열을 받아 신항 배후부지에서 하는 사업과 송도광역생활폐기물시설 터의 콜드체인 클러스터 사업이 겹쳐 타당하지 않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창호 기자 ych23@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송도소각장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