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7기 원도심 균형발전의 핵으로 떠오른 인천시 하천 복원사업의 갈 길이 모호하다. 복개 하천 현황을 촘촘히 분석한 자료가 없다 보니, 복원 효과나 우선순위를 구분하기가 어려운 형편이다.

29일 시에 따르면 그동안 하천 복원에 대한 지역 전반의 실태조사나 타당성 조사가 진행된 적이 없다.

‘하천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2008)’의 일환으로 지류에 해당하는 용현갯골수로와 굴포천(지류), 목수천, 수문통을 조사했을 뿐이다. 시 하천 마스터플랜에서는 오히려 시민단체의 복개하천 조사보고서를 차용했다. 인천녹색연합이 펴낸 ‘인천 복개하천 조사보고서(2006)’는 지금까지도 시 전체 복개 하천을 조사한 유일한 자료다. 이렇다 보니, 하천 복원사업의 당위성을 시 정부조차 쉽게 설명하기 힘들다.

최근 발표한 승기천 복원사업(2㎞)이 그 예다. 시는 복개 하천인 승기천 복원에 대해 그동안 제대로 조사한 적이 없었다. 이 때문에 상류의 물길이 있었는지를 두고 역사성 문제가 거론되는 데다, 유지용수 확보 방안 등 기술적인 우려도 분분하다.

게다가 인천녹색연합의 보고서에는 당시 조사한 9개 복개 하천 중 승기천 복원을 후순위로 분류했다. 발원지가 완전히 유실된 데다 교통량, 주차량 등을 감안할 때 당장 복원이 가능한 곳을 우선 추진해야 한다는 이유다. 앞으로 시가 하천 복원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자체적인 우선순위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서울시의 경우 ‘서울시 복개하천 복원타당성 조사연구(2005)’를 통해 당시 전면복개·부분복개된 31개 하천 전체를 조사했다. 복개 하천을 토지이용, 수환경, 생태계, 교통, 주민설문 분야로 평가해 복원 우선순위를 정했다. 우선순위는 기본설계와 연계해 단기사업과 장기사업 대상 하천을 나눴다. 도시를 생태적으로 되돌리는 하천 복원의 의미를 살리려면 이 같은 과정을 거쳐 지역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우선으로 꼽힌다.

장정구 인천녹색연합 정책위원장은 "하천 복원은 정치적 이해관계나 토목사업으로 봐서는 안 된다"며 "사회적 공감대와 복원 가능성이 중심이 되려면 인천시가 복개 하천을 조사하고 우선순위를 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