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태양전지 안정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아주대학교는 박희준 교수(전자공학과·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사진) 연구팀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쓰이는 정공 수송층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관련 내용은 ‘태양빛 하에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유기 정공 수송층의 전이쌍극자 제어’라는 제목으로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0월 31일자에 게재됐다.

박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한 이 논문에는 아주대 대학원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옥송아 학생이 제1저자로, 김종현 교수(응용화학생명공학과·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와 이대운 학생이 공동저자로 함께했다. 공주대학교 박상혁 교수와 성균관대학교 안태규·송영재 교수, 건국대학교 김봉기 교수도 연구에 참여했다.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정공 수송층에 주목했다. 정공 수송층은 태양전지의 광활성층에서 생성된 정공을 전극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유기반도체 기반 정공 수송층의 경우, 간단한 저온 용액 공정이 가능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널리 적용돼 왔다.

이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전자정보 디바이스산업 원천기술 개발사업 및 산업통상자원부·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에너지인력 양성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박종대 기자 pjd@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