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라국제도시 국제업무단지는 지난 10여간 금융·보험업 등의 테마산업을 갖춘 서울 여의도 금융가의 ‘백 오피스(Back Office)’ 조성이 개발 목적이었다.

하지만 국제업무단지와 다리 하나(공촌천)를 사이에 두고 개발 중인 하나금융타운과의 콘셉트 중첩 및 송도국제도시 국제업무지구 조성사업의 ‘참패’를 지켜 본 투자자들이 이곳에 업무단지를 또 세우겠다고 달려들 이유는 없었다.

▲ 청라국제도시 ‘G-시티’ 조성 사업 조감도.  <인천시 제공>
▲ 청라국제도시 ‘G-시티’ 조성 사업 조감도. <인천시 제공>
금융·의료·국제기구 유치를 위해 조성된 송도국제도시 국제업무지구는 어떤가. 이곳의 대형 오피스 절반은 공실로 남고, 지상 145m 높이에 33층짜리 한 오피스 빌딩의 경우 임차인이 없어 ‘통매각’이 진행 중이다.

청라국제도시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지난해 10월 이곳에 4조 원을 투입해 글로벌(G) 스마트 시티를 만들겠다는 한 부동산 개발업체의 제안을 일단 수용할 수 밖에 없었던 대목이다. LH는 지난해 11월부터 JK미래㈜의 제안을 놓고 인천시 투자유치 부서와 몇 차례 협의하다가 6·13 지방선거를 두 달 앞둔 시점에서 ‘청라 G-시티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선거용’이라는 비판이 일었지만 청라 주민과 이 지역 구·시의원들은 문서상 존재하지 않는 구글과 LG가 들어온다고 분위기를 띄었다.

하지만 협약 당시 입주시설의 일부였던 생활형숙박시설의 규모가 지난 6월 ‘8천 실, 전체 일반분양’으로 밝혀지면서 민간사업자의 대의명분(스마트실증단지 조성)은 심각하게 훼손됐다.

시는 민간사업자가 일종의 기획부동산업체라는 얘기까지 꺼냈다. 인천경제청 역시 JK미래㈜가 27만여㎡의 땅을 조성원가인 3천6억 원 정도에 매입해 최소 분양수익 2조5천억 원을 거둬가는 것으로 이 사업으로 규정했다. 시 안팎에서 이 사업은 문제가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개발계획 변경을 통한 생활형숙박시설 8천 실 승인은 특혜에 해당된다는 점과 ▶구글·LG가 특혜 의혹을 지울 만한 지분 투자 및 인력 유치, 자회사 설립 계획이 없다는 점 ▶인구 9만 명에 맞춰 기반시설이 조성된 이곳에 ‘아파텔’ 난립으로 인한 학교·교통 등의 문제가 심각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지도 않은 상태에서 일부 주민단체 등이 전략산업 유치를 위해 관청과 사업자가 벌이는 태스크포스(TF) 회의 내용을 외부로 유출해 혼란을 증폭시켰다는 지적도 있다. 이들은 인천경제청이 G-시티의 청라 유치를 반대하고 송도에 유치하려는 의도를 가졌다는 소문도 퍼뜨렸다.

이에 대해 투자유치 전문가들은 ▶수십년 간 되풀이 된 정치인과 공무원의 실적내기용 투자유치 발표 관행 타파 ▶MOU(양해각서) 단계에서 MOA(사업협약) 단계로 사업이 진척될 때까지 TF회의의 기밀 유지 및 발표 제한 ▶투자유치 전문조직과 시스템의 ‘원 스톱’ 일원화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한편, JK미래㈜는 취재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청라 G-시티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