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평화의 공간으로 발돋움한 한강하구의 관리체계 강화에 나섰다.

65년 만의 남북공동조사가 이뤄졌으나 지속가능한 활용 방안 마련은 시가 구상하고 있는 또 다른 과제다.

5일 시에 따르면 한강하구의 생태환경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한강하구 유역에는 국내 인구의 30%가 집중돼 수질 오염과 폐기물 방기, 생태계 파괴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관리체계가 갖춰지지 않은 데다 접경지역 특수성으로 사각지대에 놓인 탓이다.

이에 남북간 한강하구 공동이용에 앞서 남한 내에서 관리체계와 제도를 정비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크게는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관리 방안과 조직을 만들고 제도 정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지난 3월 열린 인천한강하구포럼 등에서 전문가들은 남한 내에서 먼저 공통 창구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강하구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상류인 한강유역 전체와 연계한 관리정책 연계가 필요해서다.

예를 들어 수질관리 목표를 수립하려면 한강수계 수질오염총량제 관리대책과 하천끼리의 연계관리, 지역 오염원 증가대책, 접경지역 배경농도 등을 종합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시는 환경부와 해수부, 통일부, 국방부, 외교부, 서울시·인천시·경기도 등이 참여하는 관리위원회 구축을 정부 부처에 건의하고 있다. 환경부와 해양수산부의 환경측정망을 통합하고 환경 모니터링과 생물다양성 공동연구, 미세플라스틱 영향분석 등을 함께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내년 중 한강하구 생태환경 통합관리 방안 연구용역(2억 원)과 생태환경 공동 워크숍(2천만 원)도 추진할 계획이다. 용역비가 확보되면 연구과정에서 통합관리 방안 이외에도 남북 협력과 국제 협력 기반 마련 방안 등도 다뤄질 예정이다. 제도적으로는 한강하구 관리 일원화를 목표로 (가칭)한강하구관리법을 제정을 건의하고 있다. 관리체계를 정비를 통해 남북협의체 구성까지 나아가기 위한 기반을 닦고 공동환경기초조사와 보전 방안을 마련한다는 목표다.

시 관계자는 "한강하구의 평화적 이용을 위해서는 남한의 관리 기반이 우선 갖춰져야 하는 상황이다"라며 "한강하구 범위를 정의하고 보전관리를 위한 제도를 마련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정부 부처에 건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