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피소.jpg
▲ 연평 대피소 1호 내부 전경. /사진 = 연합뉴스
포성이 사라진 인천시 접경지역의 비상대피소가 평화관광 콘텐츠로 주목받고 있다.

11일 옹진군에 따르면 백령면과 대청면, 연평면 등 서해 5도 지역에 총 43개의 비상대피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조성사업비는 553억 원이 들었다. ‘서해5도지원특별법’에 따라 절반은 국비가 지원됐고, 나머지는 시와 군이 부담했다.

같은 시기 접경지역인 강화군도 현대식 대피시설을 확충했다. 강화군의 정부 지원 대피소는 50개소다. 한 개소 당 적게는 3억8천여만 원부터 6억4천여만 원 씩을 투입해 총 230억 상당이 사업비로 쓰였다. 연간 운영비는 옹진군 8억 원, 강화군 2억8천만 원 가량이 든다.

이달부터 지상, 해상, 공중에서 모든 적대행위를 중단하기로 한 남북간 ‘9·19 군사합의서’ 등 평화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비상대피소의 새로운 활용 방안이 조명을 받고있다.

평화교육시설로 활용하면서 평소에 체험하기 어려운 공간을 관광 콘텐츠로 활용하는 방안이다. 현대식 대피시설에는 주방시설과 화장실, 샤워시설 등 부대시설이 갖춰져 있다. 관광객 체험공간이나 전시시설, 학교와 연계한 평화교육공간 등으로 사용가능하다.

연평도 1호 대피소의 경우 인근 연평안보수련원과 연계한 관람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지역차원에서의 상시적인 관광상품은 없다. 거점 대피소에 대해서는 체험숙박 프로그램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연평도 1호(666㎡), 대청도 2호(665㎡), 백령도 9호(665㎡) 등 대형 대피시설은 한 번에 460명 이상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다. 대형 숙박시설이 없어 단체손님을 받지 못하는 도서지역의 한계를 보완하고, 식사와 부가 프로그램 운영으로 주민수입을 늘리는 방안이다.

인천연구원의 ‘백령도 청소년 체험활동 유치와 연계한 주민대피시설 활용 방안(2013)’ 연구에서도 대피소를 특화숙박시설로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되기도 했다.

현재 대피소 내 숙박은 관리·운영상 이유로 금하고 있으나, 지자체나 공공기관이 체험을 목적으로 신청할 때는 허용하고 있다.

옹진군 관계자는 "지금도 일부 대피시설은 주민센터 프로그램이나 마을 행사, 주민편의시설로 활용되고 있다"며 "평화관광과 연계해 많은 사람들이 접경지를 찾고 주민소득까지 이어진다면 좋을 것 같다"라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비상대피소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