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세호.jpg
▲ 박세호 인천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연구위원

정확한 시점은 알 수 없지만 전 세계적으로, 또 국내에서도 ‘4차 산업혁명’이 화두가 된 지는 약 3년 정도 돼 보인다.

 아니나 다를까, 구글 트렌드(Google Trends)의 키워드 검색을 활용해 전 세계와 대한민국 두 기준으로 4차 산업혁명의 관심도 변화를 살펴본 결과 모두 2016년 관심도가 급등한 것을 알 수 있으며, 2017년 말에 최고 관심도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차이점이 있었다. 전 세계에서 4차 산업혁명 관심도는 지속적인 증가 추세였지만 국내에서의 관심도는 한 풀 꺾여 주춤한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차 산업혁명은 여전히 국내 산업계에서도 뜨거운 감자임은 확실해 보인다.

 4차 산업혁명의 국내 검색 결과를 지역별로 확인해 보면 전국 15개 지역에서 관심도(가장 높은 지역을 100으로 환산)가 가장 높은 곳은 대전(100)이며 광주 78, 서울 75, 대구 58, 인천 50 등의 순서로 확인됐다. 인천은 전국 15개 지역 중 5위로 부산(48), 울산(43), 경기(13)보다 관심도가 높았다. 인천 산업의 다양성 만큼이나 다양한 구성원들이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높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과 대응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는 방증으로 보인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천의 높은 관심은 지역 중소기업의 의견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인천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가 지난 7월 공개한 ‘4차 산업혁명 대응 실태조사 보고서’에는 지역 중소기업 중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기업은 52%, 그렇지 않은 기업이 12.5%로 조사됐다.

 이는 전통적으로 제조업과 뿌리산업 중심의 인천지역 각 산업분야의 중소기업들이 4차 산업혁명과 연관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으려는 의지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인천을 비롯한 우리 사회에서 논의되는 4차 산업혁명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 ‘사물인터넷’ 등 용어의 화려함 속에 파묻혀 있다. 중소기업들은 그 의미나 실체를 알기 어렵고 알았더라도 즉각적으로 경영에 접목하거나 현실적으로 사업에 반영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 의지가 꺾이기 일쑤인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개념이 사회 곳곳에서 유행처럼 번지고 있지만 대부분 사람들은 그 명확한 의미를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기업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증명하듯 국내에서 4차 산업혁명이 100번 검색될 때,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얻기 위한 ‘4차 산업혁명 대응’ 관련은 단 2번 검색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인천의 중소기업들에게 4차 산업혁명은 현재까지 요란한 빈 수레일 뿐이다.

 많은 곳에서 이야기를 듣고 등 떠밀려 조바심을 느끼지만, 명확한 방법과 비전을 제시해주는 해결사는 없었기 때문이다. 현재의 중소기업에게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라는 말은 당장의 납기일 준수와 운영 목표 달성에 힘든 그들을 더 혼란스럽고 짜증만 나게 할 뿐이다.

 어쩌면 4차 산업혁명 대응 무기력증에 걸릴지도 모를 일이다. 앞서 언급한 보고서에는 인천 중소기업 120개 중 60%가 4차 산업혁명의 흐름을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동향에 대한 교육이 중간관리자 이상 직급의 구성원에게 이뤄지길 원하고 있다. 또 45%가 기업 조직 내 4차 산업혁명을 대응할 수 있는 교육훈련을 가장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 결과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의 불명확성은 걷어내고 실질적 대응을 하고 싶다는 지역 기업에 적합한 방안을 마련해 줄 수 있지는 않을까.

 인천의 중소기업이 실질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지역 산업의 활력을 이끌도록 하려면 정부가 마련한 제도 참여를 기다리고만 있을 것이 아니라, 각 산업분야의 중소기업에게 4차 산업혁명이 접목되는 명확한 사례와 구체적 방안, 동향을 지속적으로 제시해 줘야 한다.

 이를 통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을 생산해 낼 생산 주체가 될 것인지, 신기술 적용을 통해 이윤을 창출하는 소비 주체가 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이와 함께 각 기업 의사 결정권자들의 사고와 태도 전환에 필요한 중장기적 노력이 지자체, 기업, 개인 측면에서 선행돼야 할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