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2018 인천물포럼에서 민관전문가들이 ‘통합물관리시대 인천하천살리기 방향’을 주제로 토론하고 있다. <녹색환경지원센터연합회>
▲ 12일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2018 인천물포럼에서 민관전문가들이 ‘통합물관리시대 인천하천살리기 방향’을 주제로 토론하고 있다. <녹색환경지원센터연합회 제공>
통합물관리 시대 인천시의 하천살리기는 하천과 바다를 망라한 종합적인 계획수립과 주민 참여에서 시작된다는 의견이 모였다. 12일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2018 인천물포럼’에서는 인천하천 아카데미와 국내 물포럼 교류 및 협력을 통한 물 보전활동, 통합물관리시대 인천하천살리기 방향 등의 주제로 논의가 이어졌다.

이 중 오후에 열린 세션3은 물관리 일원화에 따른 인천의 하천정책과 새롭게 구성된 인천하천살리기추진단 8기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주목했다. 주제발표와 토론에 참여한 민관 전문가들은 바다와 하천하구를 품은 인천지역의 특수성을 들어 보존과 이용 방안을 제시했다.

최정권 가천대 교수는 "하천 문제는 공간으로 접근해야지 토목과 수자원, 건설이 따로 놀아서는 아라뱃길의 실패를 반복할 수밖에 없다"며 "인천에서 종합적인 물 계획을 세워 강과 바다의 연속성과 한강하구 등 통합적인 수변가치를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인아라뱃길과 인천항, 한강하구, 하천과 바다를 포함한 통합적인 공간계획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어 남북 공동이용으로 주목받고 있는 한강하구 이용과 한강∼아라뱃길 연계와 직결된 신곡수중보 철거 문제에 대한 분석도 있었다. 한강하구 중립수역의 경우 담수와 해양생태계가 겹쳐 생물다양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개발과 평화적 이용의 잠재적 가능성이 높은 곳이다.

신곡수중보 철거 문제의 경우 아라뱃길 활용계획과 맞물려 논의해야 한다는 의견이 모아졌다.

이 같은 사안은 통합물관리 체제에서 주민중심으로 추진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컸다. 그동안 중앙정부중심의 물관리 정책을 지방정부의 거버넌스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한구 경인아라뱃길상생발전협의체 위원은 "신곡수중보 철거와 아라뱃길 기능 전환 등을 검토하는 위원회 단위에 인천시와 지역주민들이 배제되고 있다"며 "이런 논의 자체를 통합물관리 측면에서 주민들이 지역의 여러 위원들이 참여해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외부에서는 인천에서 형성돼 있는 인천하천살리기추진단의 거버넌스 모델을 잘 살려가야 한다고 봤다.

박연희 이클레이 한국사무소 소장은 "인천시가 오래도록 이어 온 하천살리기 운동과 새롭게 발족한 추진단에 기대를 전한다"며 "거버넌스의 원칙을 살려 인천 단위의 통합물관리와 하천살리기를 함께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포럼은 인천시와 하천살리기추진단, 스마트워터그리드학회가 주최했다. 이날 물포럼과 함께 열린 ‘녹색환경지원센터연합회’는 ‘지역환경 거버넌스 활성화’를 주제로 환경 현안 해결을 위한 정부와 지역 민간단체간의 협력 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