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 중구 신흥동 ‘공감마을’ 위치도(왼쪽)와 실제 현장모습,
▲ 인천시 중구 신흥동 ‘공감마을’ 위치도(왼쪽)와 실제 현장모습으로 홍인성 구청장은 마을공동체 유지를 위한 생활인프라 보완 등 새로운 개념의 재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중구 제공>

100여 년 전 중구는 개항도시답게 모든 신문물이 거친 신도시이자, 인천의 중심지였다. 하지만 세월이 흐르며 도시는 낡고, 생활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해 인천의 대표적인 원도심으로 전락한지 오래다. 도시정비사업을 통해 새로운 변신도 시도했지만 경기 침체로 줄줄이 취소되며 도시는 더 쇠퇴하고 있다. 도로는 좁고, 집은 낡아 주민들이 하나 둘씩 떠나며 빈집만 늘어났다. 지금의 중구 현실이다.

홍인성 중구청장은 이처럼 낡고 쇠퇴하는 중구에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해 새로운 개념의 재생사업을 추진한다. 때려 부수고 주민들을 내쫓는 개발이 아니다. 너무 낡아 떠나고 싶은 마을이지만 함께 공동체를 형성해 보듬고 치유하는 ‘재생’이라는 처방으로 도심에 활력을 불어 넣고 있다.

첫 번째 사업이 신흥동 일대 ‘공감마을’이다. 이곳은 송도중학교를 중심으로 신흥동과 신포동 일부가 포함된 지역으로, 전체 8만7천037㎡ 규모에 968가구, 2천157명이 살고 있다. 대부분 노인이 생활하는 저층 밀집지역으로, 노후주택이 많고 생활기반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다.

 2011년 도시환경정비구역 지정되면서 주민들은 번듯한 아파트를 가질 수 있다는 기대가 컸지만 2015년 정비구역이 해제돼 오히려 상처만 커졌다. 해제 이후 빈집은 늘어나고 난개발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구는 마을 공동체를 유지하면서 주민들의 불편을 해소하는 방안으로 국토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공모한다. 공모과정은 관 주도가 아니라 주민과 함께 했다.

토박이인 마을활동가가 나서 사업 초기부터 주민들을 설득하고 참여시켰다. 새 아파트라도 생기는가 하며 시큰둥했던 주민들은 건물을 때려 부수고, 주민을 내쫓는 방식이 아닌 낡은 건물은 새로 고치고, 도로나 주차장, 도서관, 어린이집 등 부족한 생활인프라는 보완하는 새로운 재생사업이라는 점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신흥동 공감마을 사업은 크게 3가지로 진행된다. 우선 주거환경사업으로 낡은 주택을 수리하는데 본인이 10%만 부담하면 된다. 기반시설 개량사업은 안전한 마을길 조성과 답동공원 지하주차장, 공공형 어린이집 및 공공청사 등 주민들에게 필요한 생활기반시설을 지원한다. 또 주민들 스스로 마을 공동체를 활기차게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주민공동작업장과 주민교육장이 들어서고, 전문가 강의나 마을활동가 등을 육성하는 주민역량 강화사업 등도 추진한다. 노후공공복합개발사업으로 신흥동사무소와 주민자치센터를 이전하고, 행복주택(196가구) 임대사업도 진행된다. 신흥동 공감마을 사업은 내년부터 2023년까지 4년 동안 176억 원(국비 88억 원, 시비 44억 원, 구비 44억 원)이 투입된다.

구 관계자는 "주민들이 도시개발에서 밀려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며 살아갈 수 있는 이상적인 사업"이라며 "4년 동안 사업비가 지원된 후에도 구가 지원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동식 기자 dshan@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