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광교신청사 건립을 위한 자금 확보에 어려움이 많다고 한다. 도 소유의 공유재산 매각을 통한 재원 마련이 여의치 않은데다 이런 자금난을 해소하고자 신청사 건립 비용을 일반회계로 편성시켜놨지만 이마저도 내년 건축비를 충당하기 어려운 현실이라는 것이다.

예견된 일이다. 남경필 전 경기지사는 취임 후 구체적인 자금조달 계획도 마련하지 않은 채 ‘도민과의 약속’, ‘先 지방채 발행 後 공유재산 매각’ 등을 외치며 청사 이전을 밀어 부쳤다. 당시 본란에서는 두 차례에 걸쳐 ‘지방채 발행시 부담해야 할 수백억 원의 이자부담은 물론 공유재산 매각 자체의 불확실성도 클 것’이라며 문제를 제기했다. 급기야 도의회가 나서 재원조달의 불합리성을 문제 삼자 "공유재산 매각 및 손실보상금 등으로 기금을 조성해 충당하겠다"며 입장을 번복했다. 하지만 제대로 된 자금조달 계획은 끝내 제시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복합시설 개발이익 1천500억 원, 청사 매각 1천300억 원, 공유재산 매각 2천억 원, 손실보상금 800억 원 등 총 5천600억 원의 재원을 마련할 수 있는데, 신청사 건립비는 3천600억 원에 불과해 2천100억 원의 여유가 있다’는 식의 장미빛 전망만 늘어놓았다.

그러나 지난 3년간 도가 추진해온 총 18개 공유재산 매각 중 실질적으로 성사가 된 거라고는 단 4건(189억 원)뿐이다. 더욱이 최근까지 추진해온 ‘수원 종자관리소 부지 매각’ 건은 수원·화성간 경계조정 문제로, ‘구 안성병원 부지 매각’ 건은 안성시 반대에 부딪혀 답보 상태에 있다고 한다. 어떻게 이토록 큰 프로젝트의 자금을 그렇게 주먹구구식으로 조달하고 집행해 왔는지 기가 막힐 따름이다. 결국 작금의 문제는 눈에 보이는 큰 성과에 집착했던 전임 지사의 공명심과 재원조달 방법을 치밀하게 계획하는 과정을 소홀히 한 공무원들의 성급함이 만들어낸 결과가 아닌가 싶다. 그리고 늘 그렇듯 위정자와 공무원의 실패는 도민의 혈세로 채워질 것이다. 게다가 지금 매각하려는 공유재산도 엄밀히 말하면 ‘도민의 것’이다. 자신들의 안락한 업무환경을 위해 이러한 귀중한 것을 쓰겠다면 지금부터라도 고마움과 미안한 마음으로 신중하게 추진하는 게 도리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