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는 1995년 5월 10일 3개 시·군 통합 이후 토지의 계획적 개발을 위해 준농림지역 나홀로 아파트 등 소규모 난개발을 지양하고 합정, 군문, 송화, 이충, 현화 택지개발사업 등 계획적 개발 방식을 통해 체계적으로 도시를 개발 및 관리하며 자급자족 도시가 될 수 있도록 도시행정을 추진해 왔다. 특히 미군기지 이전 등 평택시의 개발이 확정되면서 커진 2006년부터 민간 도시개발사업이 제안됨에 따라 규모 있는 도시 인프라 구성을 위해 통합 계획을 착실히 수립해 왔다는 것이다. 이로 인한 광역교통 및 녹지축이 연계되도록 노력해 왔으며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로 인해 약 5년 동안 답보 상태였던 사업들이 최근 동시에 맞물려 분양 및 입주 물량이 몰리게 됐다.

 도시기본계획은 상위계획인 국토계획의 지침을 수용·발전시키는 계획으로 도시의 인구증가 및 경제·산업 변화를 예측해 장기적인 발전 방향과 미래상을 제시하면서 도시개발의 방향과 지침을 제시하고자 수립한 계획이다. 즉, 도시의 바람직한 미래상을 구현하기 위해 단기적인 도시계획이나 단순한 토지이용 규제의 차원을 넘어 거시적으로 도시의 장래를 조명하는 계획으로 물적·공간적 측면 외에도 사회·경제적 측면이 광범위하게 포괄되는 종합 계획이므로 단순한 청사진에 그치지 않도록 계획과 집행 간의 연계성을 강조하고 있다.

 평택시의 도시기본계획상 인구 계획은 각종 개발사업 등을 예측해 시의 규모가 확대되는 것을 사전에 준비해야 함은 물론, 도시인프라가 부족하지 않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평택시의 경우 산업단지 및 평택항, 미군부대 등 주민등록상 인구로 잡히지 않은 주간 활동 인구가 상당히 많은 관계로 수돗물 부족 등 도시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인식이다. 아울러 각종 개발 호재로 유입될 인구를 사전에 대비하지 않으면 인접 도에 도시 세력(인구, 인프라 등)을 빼앗겨 산업도시로 전락할 수 있으며, 주간활동 인구 및 원룸 형태 기숙사 거주 등으로 인해 사회비용만 커져 시 재정 여건이 악화될 수 있다는 결론이다.

 평택시의 2035 도시기본계획 90만 명, 시민중심 새로운 평택, 인구 계획을 중심으로 계획돼야 할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