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수협이 부실 대출 등을 감추기 위해 담보 등 채권을 헐값에 처리(대손상각비)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수년 동안 직원들의 인건비 등을 삭감해 대손충당금을 벌충했던 인천수협이 관리능력 한계를 드러냈다는 지적이다.

29일 전직 인천수협 관계자 등에 따르면 인천수협이 부실채권의 담보물건을 팔아 충당한 대손상각비는 2010년 35억 원, 2011년 45억 원, 2012년 86억 원, 2013년 78억 원, 2014년 125억 원으로 매년 증가했다.

하지만 당시 상각·매각을 하지 않아야 할 대출채권과 담보물건을 경매 등을 통해 처분하지 않고 ‘부실채권 매입(NPL)’ 사설 업체에 헐값으로 넘겼다고 주장했다. 특히 인천수협은 적자를 기록한 2012년과 2014년에 대손상각비를 큰 폭으로 늘렸다. 이는 2015년 조합장선거를 앞두고 부실채권에 대한 책임을 사전에 제거하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당시 인천수협의 인건비는 2010년 156억 원에서 2014년 110억 원으로 줄었다. 대손충당금은 2010년 85억 원에서 2014년 183억 원으로 증가했다.

전 수협 관계자 등은 당시 금융시장의 변화에 따라 대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 비율이 상향됐다 해도 직원들의 인건비 절감 비용 등으로 충분히 보완할 수 있었으나 대손상각을 했다고 설명했다. 전 수협 관계자는 "일반회계나 결산보고서 등에는 회계상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편법 등을 통해 적자를 이익으로 바꾸는 작업도 있다"며 "2012년 결산보고서 등에는 2011년까지 조합 일부 잉여금이 적립된 70억 원의 법정적립금이 당시 적자(90억 원)를 메우는 비용으로 처리돼 모두 사라졌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천수협 조합장은 "2009년부터 현재까지 수협중앙회 등으로부터 수많은 감사를 받아왔다. 조금이라도 문제가 있다면 지금까지 조합장 위치에 있을 수 없다"며 "의혹을 제기한 부분에 대해선 모두 말이 되지 않는다"고 했다.

한편, 인천수협 결산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인천수협의 부채총계와 자산총계는 각각 1조831억 원과 1조1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6월까지는 부채총계 1조3천946억 원, 자산총계 1조4천281억 원으로 3년 동안 각각 3천억 원 이상 증가했다.

이승훈 기자 hun@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인천수협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