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기.jpg
▲ 김민기 (사)인천언론인클럽 명예회장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해 설립된 인천관광공사가 적자 운영과 부실경영으로 나락에 떨어졌다는 언론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얼마 전 모 언론이 보도한 인천관광공사가 수익사업 발굴 노력 없이 시민 혈세만 받아 고임금으로 펑펑 쓰고 있다고 대서특필했다. 보도 내용에 따르면 2017년 영업실적 적자가 6억9천500만 원, 2018년엔 14억3천700만 원의 적자가 예상된다는 것이다.

 반면 부산관광공사는 2017년 136억 원(자체 사업 비중 54%)을 제주관광공사는 598억 원(자체 사업 비중 77%), 경북관광공사는 372억 원(자체 사업 비중 73%)을 각각 자체 수익 사업으로 수익을 올렸다.

 인천관광공사는 출발부터 부실했다. 지난 2006년 공사 창립에 대한 찬반이 엇갈린 상태에서 설립된 후 자체 사업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기보다는 시 예산에 의존하는 등 독립적 운영에 한계를 드러냈다. 시는 이 같은 한계에 이르자 2011년 인천도시공사와 통합해 3년간 운영했지만, 도저히 회복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2015년에 인천관광공사를 독립기관으로 재출범시켰으나, 운영 3년 동안 사장이 2번이나 바뀌는 등 임기 3년을 채우지 못하고 불명예 퇴진했다.

 초대 사장은 직원 채용과 비위행위로 감사원으로부터 중징계 의결로 퇴진했고, 2대 사장은 유정복 시장 낙선으로 1년도 못 채우고 사직했다. 이들 두 명의 사장은 정치 언론계층으로 관광 전문가가 아닌 자들로서 전문성 없이 정치적 자리로 전락했다는 비판이 나오는 대목이다.

 실제로 이들이 운영한 지난 3년간 공사의 자체수입 비율이 10%대에 머무는 등 시 대행 사업에 의존하는 기관으로 전락했다.

 지방 공기업법에는 관광공사는 경상비의 50% 이상을 관광사업 등 자체 사업을 통한 경상수입으로 충당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그러나 인천관광공사는 2017년 16%(26억2천800만 원), 2018년 19.5%(52억6천만 원)로 법정 구속력 50%에 근처도 못 미치고 있다. 더욱이 이 같은 상황에서도 시 산하 타 공사보다 높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관광공사의 평균 연봉은 2015년 4천200만 원에서 2016년 5천800만 원, 2017년 6천500만 원으로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인천시 산하 5개 공사 중 2번째로 높은 수준이라는 것이다.

 수도권에서 1시간 남짓이면 도착할 수 있는 인천, 대한민국의 역사적 명소와 최첨단 미래산업을 볼 기회가 다양한 곳이 인천이다.

 대한민국 최초로 바닷물을 이용해 조성한 호수에서 수상택시를 탈 수 있는 송도중앙공원, 푸른 하늘과 바다 사이를 가로지르는 인천대교, 아름다운 낙조를 볼 수 있는 왕산해수욕장과 초승달 모양의 백사장으로 유명한 을왕리해수욕장, 각종 놀이기구와 젊은이들이 모여드는 월미도 등을 비롯해 관광명소가 널려 있는 곳이 인천이다.

 특히 강화도는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고 불릴 정도로 우리의 문화유산을 간직한 단군 때부터 함께한 곳이다.

 이 같은 관광유산을 좀 더 입체적으로 재구성해 동북아 허브도시 인천을 전 세계에 알릴 길을 시급히 모색할 때다.

 현재 인천관광공사는 경상비 자체 충당해야 하는 지방공기업법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수익사업 발굴 노력 없이 인건비, 복리후생비, 성과급 등 전액을 시에서 지원받고 있다.

 지난 3년 동안 시로부터 지원받은 예산만 239억 원에 달한다. 2016년 69억 원(인건비 50억 원), 2017년 82억 원(인건비 52억 원), 2018년 88억 원으로 지원액이 점점 늘고 있다. 지원액 증가 이유는 출범 당시 96명이었던 직원 수가 2018년 현재 107명으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눈먼 돈이 아니면 어떻게 시민의 혈세를 이렇게 지원할 수 있는지 답이 없다. 인천관광공사가 제 역할을 하려면 이제부터라도 관광투자전문 CEO의 독립적인 운영을 통한 자립기반 조성 분위기 마련이 우선이다.

 관광공사가 자체 사업을 통해 수익을 내려면 자체 사업 비중이 50%가 넘는 부산, 제주, 경북 등 타 지역 관광공사처럼 시가 보유한 수익시설에 대한 운영권과 유휴자산을 넘겨줘야 한다는 것이다.

 이제 바꿀 것은 바꾸고 개선할 것은 주저 없이 대책을 세워 지금 바로 실행해야 한다.

 링컨의 ‘시민의,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시정부가 떠오른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