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장소(公共場所)’란 어떤 공간을 의미하는 것일까. 사전적 의미로는 ‘사회의 여러 사람, 또는 여러 단체에 공동으로 속하거나 이용되는 곳’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사람들의 입장에 따라 공공장소의 의미가 다르게 해석되는 듯하다.

 얼마 전 상상플랫폼 조성사업 2차 실무협의회가 열렸다. 인천시는 지난 7월 상상플랫폼 조성사업자로 씨제이씨지브이(주)를 선정한다. 당시 시는 공공사업임을 고려해 건축 총면적의 20% 이상을 지역주민과 문화예술인 등을 위한 창업·창작 지원, 교육체험 등 공공기능을 확보해 주변지역과의 상생방안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상상플랫폼 실무협의회는 시의 이 같은 방향성을 이끌기 위해 씨제이와 인천시 관계자, 지역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등이 함께 머리를 맞대는 회의다.

 지역사회는 실무협의회에 참여하면서 시와 씨제이가 34%까지 확대해 운영하는 ‘공공장소’에 대한 기대감을 갖고 있었다. ‘공공장소’라면 인천시민들이 중지를 모아 어떤 콘텐츠를 활용할 것인지 직접 구상하고, 운영 주체 역시 씨제이가 아닌 지역사회의 각 주체가 책임지고 맡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씨제이가 구상하는 ‘공공장소’의 개념은 달랐다.

 2차 실무협의회 당시 씨제이는 ‘공공장소’에 VR를 활용한 다양한 시설과 도서관, 다목적홀, 창업 지원공간 등을 제시했다. 이어 회원들을 송도에 위치한 트리플스트리트 VR 체험장으로 데려가 보여주기도 했다. 이익을 추구하는 사적 공간의 반대 개념으로 ‘공공장소’를 바라본 것이다. 더 큰 문제는 공공장소의 콘텐츠를 구상하는 데 있어 지역 관계자들의 의견은 ‘제안’으로만 그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인천시는 상상플랫폼의 총괄 운영이 씨제이에 있기에 강제할 수 없고, 씨제이는 민감한 문제라 답변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결국 시가 지역사회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만든 실무협의회는 ‘빛 좋은 개살구’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다. 시민의 입장을 대변해야 할 시는 내년 준공기일을 맞추기 위해 시간이 필요한 지역사회의 제안 대신 씨제이의 손을 들어주는 모양새다. 부디 성급한 판단으로 20년 동안을 후회하게 되는 일이 벌어지지 않길 바란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