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철강·기계.’ 2000년대 초까지 인천경제를 이끈 산업이다. 지금도 버팀목 역할을 한다. 하지만 비중은 매년 줄고 있다.

요즘은 4차 산업혁명이 대세다. 이 중 바이오의약품은 인천의 핵심 전략산업으로 자리잡은 지 꽤 됐다. ‘인천 바이오 경제시대’를 이끌 정도다.

그런데 올해 이 산업이 휘청하고 있다. 회계처리 논란이다.

 더 더욱 가관인 것은 지역 정·재계의 대응이다. 지난 한국지엠 사태와 사뭇 다르다. 너무 조용하다.

본보는 인천의 미래 전략산업이 ‘외풍(外風)’에도 당당히 나설 수 있는 지역 차원의 육성 방안이 무엇인지 들여다봤다. <편집자 주>


1-600.jpg
▲ 지난 9월 '바이오 인천'을 슬로건으로 내건 '인천 바이오포럼'이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려 참석 내빈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기호일보 DB>
인천경제는 3개 축을 구심점으로 발전해 왔다. ▶한국지엠을 중심으로 한 자동차·부품산업 ▶공·항만의 물류산업 ▶서구 등지의 정유·화학산업 등이다. 하지만 2000년 전후 구도에 변화가 생긴다.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다. 부평을 중심으로 한 한국지엠(옛 대우자동차) 구조조정 사태가 일어난다. 이때 부평을 비롯해 전 시민들은 관심을 갖고 이 기업 살리기에 매달렸다. 인천시의 ‘대우차 사주기 운동’이 대표적이다. 지역의 경제축을 무너뜨려서는 안 된다는 논리였다.

이 같은 시책과 시민들의 정서는 지난 2월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결정이 났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정부는 위기의 이 기업에 공적자금 8천억 원을 투입했다. 인천시도 협력업체의 도산을 막기 위해 900억 원을 긴급 수혈한다고 했다. 각종 협의체도 만들어져 한국지엠 살리기에 나섰다. 하지만 ‘혁신 없는 지원’은 땜질식 처방에 불과했다. 한국지엠 혁신은 여전히 요원하다.

반면 금융당국발(發) 인천 바이오산업의 위기에 대해서는 딴판이다. 그 흔한 태스크포스(TF)조차 마련돼 있지 않다. 지역 완성차업체의 부진한 실적을 최근 몇 년 전부터 반도체와 바이오의약품이 메우고 있는데도 말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을 중심으로 한 첨단산업이 지역경제의 새 축을 형성했다는 것을 망각한 듯하다.

2015년 초반까지만 해도 지역 10대 수출품목은 자동차와 철강, 자동차부품 순이었다. 그러나 그해 하반기부터 영종FEZ에 자리잡은 글로벌 반도체기업 스태츠칩팩코리아로 인해 매월 300% 가까이 지역 반도체산업이 성장해 결국 자동차를 제치고 수출 1위 품목에 올랐다.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동아쏘시오그룹이 생산한 바이오의약품 역시 마찬가지다. 2015년 초반 지역 10대 수출품목 안에도 끼지 못했던 품목이 매월 200% 가까이 성장하면서 그해 하반기부터 10대 품목 안에 진입했다. 지난 10월 기준으로는 지역 4위 수출품목으로 올랐다.

이처럼 IFEZ 내 신성장산업의 성과는 2016년 기준 인천 전체 수출액(40조8천여억 원)의 절반인 20조6천여억 원이 이곳에서 만들어진 결과로 잘 드러난다. 2017년 기준 유기물화학과 관련 의료용품의 지역 수출액은 34억300만 달러에 이른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바이오산업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