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은 설계·개발·제조·물류 과정 등에 자동화 솔루션과 정보통신기술을 결합시킨 지능형 생산공장이다. 생산성을 높이고, 불량률은 낮추며, 수요자 맞춤형 생산을 구현하는 수단으로 4차 산업 시대의 필요충분조건이다. 독일의 ‘인더스트리4.0’, 미국의 ‘첨단 제조 파트너십’, 중국의 ‘중국 제조 2025’, 일본의 ‘4차산업 혁명 선도전략’ 등 경제대국의 발전 계획에도 스마트공장 육성은 가장 중요한 핵심 전략으로 명시돼 있다. 지난 13일 우리 정부도 2022년까지 3만 개의 스마트공장과 10곳의 스마트 산업단지를 구축하고, 10만 명의 스마트공장 전문인력을 양성해 중소 제조기업 강국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산업은행이 1조 원, 기업은행과 중소기업진흥공단이 각각 5천억 원을 설비 투자자금으로 지원하고,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공급을 위해서도 3천억 원의 추가 전용 펀드를 만들기로 했다.

특히 뿌리 산업 등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생산성 향상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는 업종부터 우선 지원키로 했다. 중소기업의 미래를 스마트공장 강화를 통해 대비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을 환영한다. 그러나 스마트공장을 구현하는 건 생각처럼 쉬운 문제가 아니다. 전통적 제조산업을 빅데이터와 사물 인터넷(IoT), 인공지능, 3D 프린터 같은 첨단 기술과 융합해가는 복잡한 과정이기 때문이다. 시행 착오가 발생할 것이고, 예산 낭비라는 비난에 직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류와 비용을 줄이려 노력하는 것은 매우 긴요한 일이다.

우선 우리가 강점을 갖는 산업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독일은 기계공학 영역에서, 미국은 산업용 IoT에서 축적된 강점을 활용하는 식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해가고 있다. 대기업과의 협력도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공장 구축을 위한 IT 솔루션을 갖고 있는 대기업들과 함께 협력하며 가치사슬을 만들어 나가면, 시행 착오도 줄이고 사업 연계 효과도 높아질 것이다.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도 중요하다. 중복 투자나 실패의 반복 같은 비효율을 조정하고, 성과물을 공유·전파하는 중재자 역할은 정부가 맡는 게 효과적이다. 이처럼 정치성을 배제하고 경제적·합리적으로 접근한다면 적은 비용으로도 큰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