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jpg
▲ 지난 2016년 5월 송도국제도시 쉐라톤호텔에서 인천시와 제약·바이오협회,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인천 바이오의약 산업 발전과 국제 바이오의약 포럼 성공 개최를 위한 업무협약’이 체결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금융당국발(發 ) 인천 바이오산업의 ‘내우(內憂)’가 ‘외환(外患)’으로 번질 것 같다. 우선 해당 기업에 대한 장기 수사와 법정 공방으로 지역 바이오산업의 대외 신뢰도와 경쟁력 저하는 불 보듯 뻔하다. 여기에 국내외 바이오의약품 주문 생산량 감소와 신약 개발 및 판매 차질, 신규 투자 지연으로 이어질 공산도 크다. 인천 바이오산업의 성공 신화를 이끈 대기업의 집중적 투자와 오너 경영체제의 신속한 의사결정 구조에도 악영향을 줄 것이 뻔하다. 상황이 이런데도 위기의 인천 바이오산업을 구하고자 하는 지역의 노력은 눈 씻고도 찾아 볼 수도 없다. 정부의 강력한 지원정책으로 전 세계 시장을 휩쓸고 있는 바이오 강국과 차이가 나도 엄청나다.

바이오의약산업은 세계 인구 고령화에 따른 ‘웰빙 이슈’로 미래에 가장 유망한 먹거리산업으로 꼽힌다. 10년 이상 걸리는 상품화 과정을 감안하면 지금부터라도 흔들림 없는 투자와 지원이 선행돼야 한다.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2016년 기준 1천200조 원 규모로, 반도체 시장(370조 원)을 이미 앞질렀다. 인구 845만 명의 이스라엘 등이 자국 바이오기업이 내수 시장의 한계를 딛고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한 정책을 보면 지금의 한국 상황과 딴 판임을 여실히 알 수 있다.

최근 22조여 원의 매출을 기록한 이스라엘의 테바사는 1980년대 복합합성의약품 생산기업으로 출발해 현재 바이오시밀러 시장 2위 기업이다. 인수합병(M&A)과 벤처 파트너십을 통해 사업 분야를 빠르게 확장하고 이익을 재투자한 결과다. 특히 톱니바퀴처럼 촘촘히 짜여진 정부의 바이오테크산업 지원에 큰 수혜를 입었다. 산업부 산하 수석과학관실에서는 과학기술 개발 및 이전정책을 총괄지원했고, 다양한 국가의 엔지니어와 연구원, 의료인들의 이민을 허용해 풍부한 연구인력을 뒷받침했다. 산업부 산하 R&D연구소와 기술지주회사가 설립돼 테바와 공동 신약을 개발했다. R&D 촉진을 위해 회사 예산의 20∼50%는 정부 보조금으로 지급됐다. 연구개발에 실패해도 보조금 상환 의무는 없었고, 성공하면 정부에 로열티를 지급하는 구조다. 기업의 인수와 합병, 강제 매수에 대해 정부는 어떤 규제도 두지 않았고, 조세감면 혜택으로 기업 설비와 M&A투자를 장려했다.

스위스의 노바티스사(세계 제약 1위)와 로슈(4위) 사는 어떤가.

이 두 회사는 지난해 전체 매출액의 20%인 10조 원과 13조 원을 각각 R&D 투자에 썼다. 두 회사의 연구비 지출액이 우리나라 전체 R&D 예산(20조 원)과 같다. 정부가 R&D비용의 10%를 감면해주고 법인세율은 가장 낮은 주(州)가 12.32%(한국 25%)에 불과하다. 아일랜드도 국립바이오공정교육연구소를 정부와 기업, 대학이 함께 만들어 연간 4천여 명의 바이오 전문인력을 배출하고 기업의 R&D 투자 중 약 44%를 정부가 원조하고 있다. ‘지원은 하되 일일이 간섭하진 않는다’는 원칙 속에서 이들 국가에는 바이오 벤처기업과 인재가 모여 들어 자족적인 바이오 클러스터가 형성됐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바이오산업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