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교육청이 강화지역 학교에 대한 통폐합을 추진함에 따라 학생들의 원거리 통학 불편, 지역 공동화 현상 등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다. 최근 시교육청에 따르면 내년 1월 서도초·중 볼음 분교를 시작으로 강화군 소재 9개 학교에 대한 소규모 학교 통폐합을 추진한다. 이들 학교는 전체 학생 수가 20명에서 50명 정도에 불과해 통폐합이 불가피하다는 시교육청의 설명이다. 하지만 학부모와 지역 내 반발의 목소리가 거세 통폐합 과정은 수월하지 않다. 반대의 이유는 다양하다. 우선 통학거리가 멀어져 학생들과 학부모의 불편 가중이 예상된다. 학교 통폐합으로 인근 학교로 옮길 경우 학생들의 통학 시간이 짧게는 9분에서 길게는 30분까지 더 많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동문들은 추억이 서린 모교가 사라지는 것에 반대한다. 중학생의 경우 학교 선택의 폭이 계속 줄어들 것이다. 특히 지역 간 불균형 심화도 문제다. 가뜩이나 인구가 적은데 학교마저 사라져 버리면 자녀 교육을 위해 해당 마을을 떠나야 하는 경우가 늘어날 수밖에 없고 학교가 사라지는 지역은 점점 발전에서 뒤처지면서 마을공동화 현상까지도 예상된다. 시교육청은 통학버스를 운영하는 등 지원을 강화하고, 폐교 관리에도 신경을 쓰겠다고 한다. 하나 제대로 지켜지리라는 보장도 없다.

물론 학령인구가 급감해 빈 교실이 한 해가 다르게 늘어나는 상황에서 손놓고 있을 수는 없는 일이다. 문제는 통폐합 방법론이다. 현 교육부의 정책대로 학생 수에 따른 일률적 통폐합 기준은 문제가 있다. 무엇보다 지역 여건을 먼저 고려해야 한다. 지리적 환경, 주변 학교 간 거리, 학교의 특색과 같은 것을 고려한 세심한 기준이 필요해 보인다. 작은 학교를 없애고, 큰 학교에 통합하는 외형 위주의 정책보다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학교, 작지만 특색 있는 학교를 적극 육성하는 것도 한 방안이 될 수 있다.

교육부의 소규모 학교 통폐합 정책 범위 내의 대상 학교 모두가 통폐합을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교육부 안은 권고 수준일 뿐 강제사항이 아니어서 통폐합을 하지 않는 학교에 대한 제재조치도 없다. 통폐합보다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현재의 학교 여건을 세심히 살펴 추진에 나서기 바란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