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락기.jpg
▲ 김락기 한국시조문학진흥회 명예이사장
산은 오르는 길도 많지만 내려오는 길도 많다. 산의 높낮이에 따라 그 길은 천차만별이다. 쉬이 찾곤 하는 생활 주거지 근처의 산길이라도 늘 같지는 않다. 세월 따라 새 길이 생기기도 하고, 일부러 잘 가지 않던 샛길을 가기도 한다. 그리 많이 다닌 산길은 아니지만, 백두산과 한라산을 비롯해 다녀본 산길은 정녕 우리네 인생길과 무어 다를 바 없다. 때로는 바이칼호수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웅장한 산악들의 기나긴 능선길이나, 파미르고원 주변의 천산이나 알타이 같은 거대한 산맥 길을 무한정 오르내리는 환상에 젖기도 한다. 생각만으로도 벅차다. 그런데 이런 산길도 대개 등산길과 하산 길로 나눌 수 있다.

 우리는 흔히 등산을 인생사의 성공에 비유한다. 명예나 지위가 오르고 재산이 늘어나면 인생의 등산을 잘했다고 한다. 오래 전 도봉산 중턱 원통사 인근 어디쯤에서 낡은 ‘민주산악회’ 표지석을 본 적이 있다. 그때는 그 단체의 리더인 김영삼 전 대통령이 빛나는 시기였던 것 같다. 하고많은 등산이 쌓여 이 나라 민주화에 일조했다. 그런 그도 대통령 취임 초반의 엄청난 국민의 지지도는 IMF사태를 겪으면서 급격히 떨어져 말년이 순탄치 않았다. 산업화와 민주화의 양 날개가 부딪치는 그 격랑의 시대에 산악회를 이끌고 수많은 산을 오르내리면서 하산 길의 중요성을 몰랐을 리 없다. 정상 정복에 젖어 하산 길을 잊었거나, 태풍 홍수 등 천재지변으로 그 길이 유실될 수도 있었겠지만 말이다.

 지난주 근 이십 년도 넘어 강화도 마니산을 다시 찾았다. 누천 년 전 고조선 단군왕검이 하늘에 제사를 올리던 제천단, 백두와 한라의 중간 지점, 전국 최고의 생기가 나오는 곳이란다. 그간의 내 경험상 이 산 같이 해발 472m 이상 고도라면 오를 때는 가파른 코스를, 내릴 때는 완만한 코스를 택하는 것이 괜찮았다. 땀 흘려 오른 후 여유롭게 내려오는 것은 건강에 좋은 것 같다. 인생행로도 그러면 어떨까 싶다. 오후 늦은 시각, 가파른 계단로로 올라 완만한 단군로로 내려올 참으로 발을 내디뎠다. 오랜만에 찾아간 마니산의 영감에 취해 좀 늦게 정상부에 도착하니 제천단은 이미 울타리 철문이 잠겨 있었다. 땅거미가 내렸다. 잠글 시간은 아니었는데 아쉬웠다. 울 밖에서 제천단에 참배한 후, 바로 곁 마니산 팻말이 서있는 꼭대기에 올랐다. 내려다본 섬 둘레 야경은 낙조와 더불어 장관이었다. 감격도 잠시뿐 하산은 어둡고 낯설어 단군로로 내리오지 못했다. 즐거이 내려올 수 있는 길임에도 때를 놓쳤다. 우리 삶에도 이런 경우가 적지 않다. 다음은 그러지 않으리라 다짐한다.

 하산은 흔히 등산 또는 입산수도의 상대 개념으로 일컬어진다. 하산 길은 평지 걸음 속도보다 늦추어 천천히 내려가라고 한다. 오르는 것에만 익숙해 있는 삶은 하산할 때 마음이 풀려 되레 사고를 당하는 경우를 가끔 본다. 이즘은 무릎이나 발목이 아파 등산을 중단한 벗들이 늘어난다. 하산은 단순히 하산으로 끝나는 게 아니다. 등정의 여운을 살려 심신을 재충전시켜야 좋다. 곧 ‘동지’가 다가온다. 일양시생(一陽始生)이다. 어둠이 끝나고 볕이 들기 시작한다. 옛적 어느 때는 이날을 새해 첫날로 맞이하거나 작은설이라 하여 서로 덕담을 주고받았다. 조선시대 연간 풍속을 서술한 홍원모의 「동국세시기」에는 동지 음식으로 팥죽을 쑤어먹고 대문에 뿌려 액기를 쫓았다고 한다. 올 중동지는 마침 토요일이다. 모처럼 가족들과 함께 팥죽에다 나이만큼 새알심을 먹고 한 살 더 먹은 나잇값을 가늠해보면 어떨까. 혼족 사회에 훈훈한 가족애가 넘치겠다.

 어언 황금 개띠의 해가 저문다. "강물은 강물대로 그렇게 오더니 또 그렇게 가더이다. 가고 옴이 다 ~ 그러하듯이/이제 우리도 작별을 준비할 때가 아니던가/생명이여, 축배를 들게나/잉태의 순간은 숨 가쁘고, 사랑의 세월은 불면이었으나/작별을 준비할 때는 늘 빈 가슴 가득 희디흰 웃음을 부어야지/친구여, 슬프다고 눈물을 보이지 말게/여기, 어머니의 입김처럼 훈훈한 보리차라도 한잔 들게" 나의 자유시 ‘작별’의 일부다. 지금은 백세 시대, 내리막이 있으면 오르막이 있다. 얼마 남지 않은 올해를 잘 마무른 후, 마니산의 생기와 동지의 양기를 타고, 새해 모두 다시 삶의 등산을 시작하면 좋겠다. 따끈한 보리차 한잔에다 시조 올린다.

<일몰>

해거름
저 황홀은
차라리 애달퍼라

너무나
곱고 고와
숨이 가빠 못 보겠네

하늘 밭
노을 꽃은 다
신기루로 지는가.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