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jpg
▲ 내항부두 전경.<기호일보 DB>

인천내항 7부두의 마리나와 주거시설 계획<본보 12월 20일자 1면 보도> 등에 대해 지역 산업계가 우려를 나타냈다. 지역 물류산업의 축이 붕괴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내항 물동량이 줄어든다’는 단순 통계적 수치로 벌크화물에 특성화된 내항의 기능을 성급히 축소해서는 안 된다는 논리다.

 20일 인천상공회의소와 항만업계 등에 따르면 내항 물동량은 2004년 4천529만t에서 2017년 2천348만t으로 줄었다. 갑문과 수심 등으로 5만t급 이하의 선박만 입항이 가능해 선박 대형화 추세에 따르지 못하는데다가 인천신항 개장으로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와 벌크화물 감소 추세의 영향 때문이다.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과 내항 관련 각종 용역 결과에서도 재래식 항만의 경쟁력 저하와 해양관광 거점화의 필요성이 대두돼 내항의 새로운 역할 정립 및 각종 활성화 방안이 나오고 있다.

 철재와 잡화 등 벌크 물동량 4천730t 규모의 연간 하역능력을 지닌 1부두와 1천760t 규모의 잡화 물동량을 처리할 수 있는 8부두를 개방해 전시문화시설과 복합상업시설 등을 개발하면 나머지 부두 개방과 재개발도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1·8부두의 하역기능 폐쇄와 상업시설 개발이 바로 옆 6천650t의 하역기능을 갖춘 7부두 등에 연쇄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인천내항 재개발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개발 콘셉트 아이디어 국제공모에서 7부두에 누들박물관을 도입하자는 제안도 나왔다.

 업계는 전국 최대의 곡물전용 하역시설을 갖춘 7부두 등이 재개발사업에 밀려 대체 이전부지를 확보하지도 못한 상황에서 쫓겨나듯 인천항을 떠날 수 있다고 우려한다. 7부두 배후에는 대한싸이로와 TBT, 대한제분, 대한사료, 대한제당 등 지역 굴지의 기업이 포진해 있다. 하지만 이들 기업 등이 내항을 통해 수입하는 양곡 물동량도 2011년 516만7천22t에서 2016년 기준 180만227t으로 크게 감소했다. 대한제분의 경우를 봐도 수도권 규제로 공장 및 시설 노후화에 따른 공장 신·증축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인천상의 관계자는 "남북 관계가 개선되면 가장 먼저 벌크 물동량이 증가되고 이를 내항에서 처리할 수밖에 없다"며 "내항의 물류기능이 정말 폐쇄될 정도인지 한 번도 검증된 적은 없다"고 했다. 이어 "서해안 마리나 사업의 사업성도 담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친수공간과 주상복합 개발을 위해 지역의 핵심 기업들이 인천을 등지고 떠나게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7부두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