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순휘.jpg
▲ 장순휘(정치학박사/문화안보연구원 이사)
육군사관학교(Korea Military Academy)와 육사인(陸士人)을 아십니까? 지금도 서울의 동북 태릉골에는 "지(智)인(仁)용(勇)" 교훈을 가슴에 새기며, "내 생명 조국을 위해"라는 정신지표를 향하여 대한민국 육군사관생도들이 육군소위가 되기 위해 문무겸전과 심신연마를 위해 열심히 공부하고 있다. 육군사관학교(이하 ‘육사’)는 1945년 12월 5일 군사영어학교로 시작하여 1946년 5월 1일 남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 같은 해 6월 15일 조선국방경비사관학교, 대한민국 정부수립 후인 1948년 9월 5일 육사로 개교하여 정부보다 먼저 국기(國基)로 태동한 역사와 전통을 간직하고 있다.

 1949년 10기(생도 1기)부터 정규과정으로 2년제로 모집하였으나 6.25전쟁 발발로 개전 초 많은 생도들이 전사한 가운데 비운의 임관을 1950년 7월 10일 대전에서 해야했다. 그리고 1950년 6월 1일 첫 정규 4년제 사관생도를 모집하여 333명이 입교했으나, 입교 후 24일만에 한국전쟁이 발발하여 생도1기들과 포천방면에서 수많은 생도들이 전사했다. 전쟁이 한참이던 1951년 10월에 경남진해에서 정규4년제로 11기 생도들을 선발하여 전후 첫 정규사관생도들을 임관시켜 전군에 배치할 수 있었다. 이처럼 육사는 대학수준의 교육기관으로 6.25전쟁 중 대한민국을 위해 가장 많은 희생을 감수해야만 했던 상처를 안으며 각별한 조국애를 간직하게 된다.

 이러한 육사의 역사는 육사출신들이 남다른 애국심과 충성심 그리고 군에 대한 절대 헌신봉사의 순수한 장교로서 "견리사의(見利思義) 견위수명(見危授命)"라는 안중근 정신을 간직하게 된 것이다. 이 정신의 대표적인 육사출신으로 고 강재구 소령(인천창영-인중-서울고-육사16기)이 있는데 그는 훈련 중 부하를 위해 수류탄을 안고 죽은 살신성의(殺身成義)의 의표가 되었다.

 법적으로 육사의 설립목적은 『사관학교설치법(법률 제14609호)』에 근거하여 "정규장교가 될 사람에게 필요한 교육(제1조)"을 위해 4년제로 설치한 특수목적의 교육기관이다. 사관생도의 신분은 『사관학교설치법 시행령』 제2조③항에 따라 ‘준사관’의 대우를 받으며, 현역군인의 신분으로 군법에 적용을 받는다. 육사의 목적은 "국가방위에 헌신할 수 있는 육군의 정예장교 육성"이며, 육사의 임무는 "올바른 가치관 및 도덕적 품성과 군사전문가의 역량을 구비하고 국가와 군에 헌신하는 정예장교 육성"이다. 정치(政治)나 정권(政權)에 무관한 순수한 장교를 양성하고 있다. 이런 육사를 6.25전쟁 중 만들었던 이승만대통령은 진해 임관식에서 "이제 되었어!"라고 눈시울을 붉혔다고 구전(口傳)하여 온다.

 육사의 교가를 보면 "풍진노도 헤쳐나갈 배움의 전당… 모진 역사 역력히 은보래치리"처럼 국가안보의 위기를 앞장서서 극복하여 조국에 영광을 바치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담고 있다. 그리고 평시에는 야전군과 똑같은 병영식 합숙생활하며, 일조점호(06시)와 일석점호(21시)를 하면서 ‘사관생도 신조’와 ‘사관생도 도덕률’을 암송하며, 국가와 민족만을 위해 생명을 바치고 안일한 불의의 길보다 험난한 정의의 길을 택하자는 다짐과 자신의 언행에 책임을 진다는 "위국헌신(爲國獻身) 군인본분(軍人本分)"을 뼛속 깊이 새기고 임관한다. 사관생도로서의 4년간의 생활은 일반대학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생도생활예규」라는 엄격한 규정에 적응하며 철저한 인간개조수준의 생도생활을 하게 된다. 육사의 퇴교율은 비공식적으로 15~20%수준인데 이러한 수준은 육사졸업 및 소위임관이 결코 단순한 교육과정이 아니라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물론 학군장교와 3사관학교 및 학사장교 등 다른 장교양성기관도 장교임관의 기준은 엄격하다.

 이렇게 국민의 혈세로 양성하여 우리 군에 배치한 육·해·공군사관학교 출신 장교들은 남다른 조국애와 민족애와 충성심과 애군심 및 열정으로 각자의 계급과 보직에서 직업군인의 길을 걷는 것이다. 군은 상명하복(上命下服)의 특수집단으로서 상급자로부터 내려온 명령과 지시는 죽음을 무릅쓰고 완수해야하는 것은 군인의 상식이다. 자칫 사관학교출신 군인들의 충성이라는 것은 무모한 출세주의가 아닌가하는 우려가 있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그들의 일상에 들어가 보면 직업군인들으로서 자기계발에 최선을 다하고 정치나 정권에 대한 관심이 별로 없다.

 오히려 군통수권자라는 대통령에 대한 충성의 정점을 넘어선 상위가치의 조국 대한민국을 위해 충성하도록 교육된 장교들이 맞다. 유사시 주적(主敵) 북한군과 싸워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한다는 철저한 책무에 따라 사고하고 행동하는 집단인데 이것을 정치적 잣대로 ‘정권에 아부’한 것으로 군을 곡해한다면 군을 정말 모르는 정치적 권력남용이다. 최근의 고 이재수장군의 자진(自盡)은 개인에 대한 모욕적 우발사고라기보다 5년 전 국방안보전문집단의 상식적인 임무수행을 범죄시한데 따른 우(愚)를 범한 것이다. 군이 왜 존재하며, 무엇을 위해 일하며, 국민을 위해 죽을 가치가 있는가를 반문하는 꼴이 된다. 고 이재수장군의 영면을 기원하며, 이 죽음이 군과 군인에 대한 편견과 오류가 없어지고 명예가 회복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이 장군의 유서는 조국에 충성하는 군을 더 이상 흔들지 말라는 바램도 담고있는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