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화재.jpg
▲ 지난 4월 16일 인천시 서구 가좌동 화학물질 처리공장 화재사고 현장이 처참한 몰골로 드러나 있다. /사진 = 기호일보 DB
100만여 명의 인천시민이 ‘화학사고 위험’을 안고 살고 있다. 주거지와 화학물질 취급업소의 거리가 가까워 사고 발생 시 대규모 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지역 특성에 맞는 예방계획과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

25일 ‘인천시 화학물질 안전관리계획 수립 용역’ 중간보고서에 따르면 인천시민의 42%가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의 반경 1.6㎞ 영향권에 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노동환경건강연구소(2016) 연구에 근거한 이 자료에는 전국 17개 시도 중 인천시민이 영향권 내에 가장 많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26.4%)와 경남(19.5%), 충북(18.5%), 광주(18.3%) 등이 뒤를 이었다.

인천의 경우 16개 산업단지(신규 지정 포함)와 외부 지역에 화학물질 취급업체 1천21개가 있다. 남동구와 서구가 각 372개소(36%), 292개소(29%)로 상당수를 차지한다. 남동구는 화학물질 취급업체의 90% 이상이 산단 내에 위치했고, 서구는 산단 안팎의 비중이 비슷했다.

인천의 취급업체는 황산과 염화수소, 질산, 톨루엔, 메틸알코올 등 1군 물질을 많이 사용해 위험성이 크다. 특히 남동구와 서구는 1군 화학물질 사용이 많아 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남동구는 1천146개, 서구는 1천9개의 1군 물질 취급업체가 집계됐다. <표>

Untitled-1.jpg
올해 서구 이례화학을 비롯한 화학사고의 위험성도 크게 드러나고 있다. 화학안전정보시스템에 집계된 2018년 인천시 화학사고는 5건(누출 4건·화재 1건)이다. 소방청이 2014년부터 올해 10월까지 대응한 화학사고는 37건으로 경기(171건), 경북(47건), 울산(40건) 다음으로 많았다.

용역에서는 사고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신속한 대응과 선제적 예방·대비, 체계적인 안전관리, 폭넓은 참여 등의 전략을 제시했다. 특히 70%가 넘는 취급업소가 50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으로 집계되면서 철저한 안전관리와 제도권 밖에 있는 사각지대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화학물질 안전관리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전문인력 강화, 군·구별 대응체계 확립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

시는 이번 용역을 내년 3월까지 마무리 짓고, 지역 특성과 현실이 반영된 안전관리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화학물질은 취급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를 토대로 지역 내 화학물질 취급 현황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겠다"고 말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