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열린 대통령 기자회견은 경제가 35회, 성장이 29회나 언급될 정도로 대부분 경제에 초점이 맞춰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대보다는 아쉬움이 더 컸다. 대통령은 ‘정책 기조를 바꾸지 않는 이유’에 대해 "양극화, 불평등 구조를 바꾸지 않고서는 지속가능한 성장이 불가능하다"라고 답했다. 하지만 현실은 전혀 다르게 나타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제조업(-12만7천 명), 임대서비스업(-8만9천 명), 도·소매업(-6만3천 명), 숙박·음식점·교육서비스업(-6만9천 명) 등 모든 영역에서 뚝 떨어졌다. 30~40대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17만8천 명, 자영업자 수는 9만5천 명 급감했다.

 청년층의 체감실업률(22.8%)도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다. 이렇게 고용참사가 발생하는 이유는 명약관화하다. ‘좋은 직장을 갖고 있는 기득권 노조 위주의 정책’ 탓에 여기에 가입하지 못한 청년·중년층과 자영업 계층이 고용 안전망 밖으로 밀려나고 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현 국정 기조는 대통령의 고민을 전혀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이번 기자회견이 한국경제 위기를 제대로 보여주지 못했다는 데 있다.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세계 교역세가 둔화되고, 금융 부실화 가능성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다. 설상가상 산업 부문 기초체력은 갈수록 허약해지고 있다. 반도체, 휴대전화, 자동차 등 수출을 견인해온 주력산업이 하강 국면에 들어섰는데, 미래를 담당할 차기 산업도 안 보인다.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던 원인은 주력 수출산업의 경제 기여도가 높았고, 이들의 선방으로 재정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은 어떠한가. 허약한 기초체력, 금융 부실화 가능성, 세계교역 침체 등 퍼펙트 스톰이 다가오는데 대통령은 "사상 최초로 수출 6천억 달러와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를 달성했고, 세계 6위 수출국과 경제강국 30-50클럽에 가입하는 등 성장률이 경제 발전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자화자찬한다. 위기를 공유해야 변화와 양보, 단합을 이끌어낼 수 있고, 이를 통해 문제를 개선해 나갈 수 있다. 이번 회견은 그런 소중한 기회를 날려버린 아쉬운 자리였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