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시·군이 도민들의 건강상태와 의료 공급에 큰 편차를 보여 지역별 의료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15일 경기도가 고시한 제7기 지역보건의료 중장기 계획안에 따르면 인구 1천 명당 의사 수가 많은 지역은 성남시와 구리시가 꼽힌 가운데 적은 지역은 광주시, 하남시 등으로 집계됐다.

성남시는 인구 1천 명당 의사가 4.07명, 구리시는 3.48명인 반면 광주시는 1.14명, 하남시는 1.28명으로 최대 3배 이상 차이가 났다.

병상 수의 경우 인구 1천 명당 동두천시가 27.56개로 가장 많은 가운데 여주(17.33개), 안산(14.67개), 부천(14.52개) 등이 많은 지역으로 꼽혔지만 과천(0.02개), 하남(3.71개), 광주(5.5개) 등은 적었다.

의료 이용과 관련해서도 지역별 편차가 뚜렷했다.

고혈압 의료 이용률은 과천이 가장 낮은 반면 동두천·포천·연천·여주 등은 높게 나타났다. 당뇨병 의료 이용률 역시 고혈압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치매 의료 이용률은 도 전반으로 10.55%를 기록, 전국 평균 11.69%에 비해 낮았지만 동두천시 12.55%, 안산시 상록구 12.38%, 포천시 12.25%, 평택시 12.16%, 고양시 일산동구 11.82% 등의 지역은 평균을 상회했다.

각 지역별로 이처럼 인구 특성, 건강, 의료 공급에 편차가 작용하다 보니 기대수명도 큰 차이를 드러냈다.

서울과 인접한 과천시의 경우 기대수명이 86.3세로 가장 높은 반면 교통 및 의료시설이 가장 열악한 연천군의 경우 79.6세로 차이가 6.7세에 달했다.

계획안은 응급, 외상, 심뇌혈관 등 필수 중증의료는 생명과 직결돼 중앙-권역-지역 체계로 촘촘한 안전망 구축이 필수적이지만 경기도의 경우 서울과 인접한 일부 지역은 전문치료에 대한 접근성이 좋으나 나머지 지역의 경우 떨어진다고 평가했다.

필수 중증의료를 포함한 전문적인 진료를 제공하는 전문진료센터, 병원의 공급 현황에 대한 검토에서도 도내 공공필수의료를 제공하는 기관이 부족했으며, 특히 도내 설치·운영되고 있는 전문진료센터가 남부지역에 치우쳐 있어 남부와 북부 간 격차가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또 경기도의 경우 50인 미만 사업장이 전체 사업체 중 98.7%를 차지하고 있고, 종사자 또한 68.3%가 이들 사업장에서 근로하고 있음에도 산업안전보건법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현실을 감안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정진욱 기자 panic82@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