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인천역 일대 개발과 재생계획의 수립이 추진되고 있지만 동인천역은 개발계획의 뒷전에 밀려있다. 사진은 동인천역 입구 일대에 유치권 행사로 인해 막아놓은 펜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 동인천역 일대 개발과 재생계획 수립이 추진되고 있지만 동인천역은 개발계획의 뒷전에 밀려 있다. 사진은 동인천역 입구 일대에 유치권 행사로 인해 막아놓은 펜스. 이진우 기자 ljw@kihoilbo.co.kr
인천시가 인천의 대표 원도심인 동인천역 인근 활성화 계획을 추진하면서 정작 10년 넘게 흉물로 방치된 ‘동인천 역사’는 빼놓고 있다. 언제 끝날지도 모르는 파산절차만 쳐다보고 있을 것이 아니라 시 차원에서라도 주변 계획과 어우러질 밑그림을 그려야 한다는 얘기가 많다.

16일 시와 한국철도시설공단 등에 따르면 대부분 비어 있는 동인천역사 활용계획은 마땅히 나와있지 않은 상태다. 동인천역을 둘러싸고 도시재생과 개발계획이 동시에 추진되고 있으나 역 자체는 어떤 계획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동인천역사 터는 시가 원도심 활성화 사업의 핵심으로 추진하는 인천개항창조도시 구역에 들어가 있다. 하지만 사업 내용을 보면 역사 인근 배다리 우각로 근대문화길 조성, 여인숙 골목 게스트하우스 조성 등이 전부다. 시는 개항창조도시 사업에 동인천 역사를 포함시킬 계획이 없는 상태다.

재생지구에서 풀어 내고 뉴딜사업 등 다른 방식을 찾아야 하지만 계획변경을 하지 않고 있다.

동인천 역사를 빼놓은 개발·재생은 역사 북측에서도 진행되고 있다. 시는 동인천역 주변 재정비촉진사업으로 동구 송현동 100 일원을 활성화한다. 동인천역 북광장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손을 잡고 거점사업으로 복합개발할 계획이다. 공공시설과 상업시설을 만들어 사람이 모이게끔 한다는 것인데, 인접한 동인천 역사 활용계획은 별개다.

동인천 역사에 어떤 시설이 들어오더라도 북광장 개발과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을 수 밖에 없다. 특히 인천역과 같은 복합개발이 이뤄진다면 상권이 겹쳐 문제가 발생할 소지도 있다.

주변 계획과 연계해 동인천 역사를 활용할 방안이 시급하다. 동인천역의 경우 지난해 9월 동인천역사㈜가 파산 선고를 받으면서 후속 절차를 밟고 있는 중이다. 건물에 설명된 사권이 모두 해소돼야 국가가 소유권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철도시설공단 등에서도 아직은 계획을 내놓지 않고 있다. 파산 과정에서 불가피할 경우 철거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이 문제가 해결되기 전이라도 시는 주변 지역과 연계한 활용 방안을 구상해야 한다. 파산이 정리되면 정부기관 측에서 시의 계획과 의견을 묻는 수순이어서다. 현재 시에는 동인천 역사 부분을 담당하는 부서도 딱히 없다. 동인천 역사는 총면적 2만3천293㎡로 지하 3층, 지하 6층 규모다. 2009년 엔조이 쇼핑몰이 매출 부진으로 폐업한 이후 현재 4∼5층(4만800㎡) 화상경륜장을 제외하고는 공실로 비어 있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동인천역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