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jpg
▲ 사진 = 연합뉴스
‘늘어난 인건비에 재정 부담은 커지는데, 요금을 올리기는 어렵고 예산은 줄여야 한다.’

버스준공영제 개선에 나선 인천시의 딜레마다. 사실상 재정 절감에 실패한데다 버스업계 처우도 여전히 하위권을 맴돌고 있다. 떠나는 이용객을 붙잡을 요금 인상도 여의치 않아 마땅한 방법을 찾지 못하는 형국이다.

17일 시에 따르면 올해 버스업체들의 손실 보전을 위해 편성한 재정지원금은 1천59억 원이다.

이는 2016년 595억 원, 2017년 904억 원, 2018년 1천79억 원 등 꾸준히 늘고 있는 수치다.

시는 준공영제 제도 개선 공청회를 열고 표준연비제를 시행하는 등 재정 지원 부담을 줄이기 위해 노력해 왔다. 하지만 올해 표준운송원가와 인건비 상승으로 재정 절감은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물가 상승으로 올해 표준운송원가는 29억 원이 늘었다. 최저임금 증가에 따라 임금인상률 3.8%를 적용해 인건비도 1천755억 원에서 1천832억 원으로 증가했다.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의 영향도 크다. 현재 인천의 버스업체는 32개 사로 운전사 4천559명이 근무하고 있다. 주 52시간을 도입하게 되면 613명의 기사를 추가 채용해 충당해야 한다. 이때 125억 원의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재정 절감을 포기하면서까지 임금 인상을 했지만 그 효과가 크지 못한 것도 문제다.

인천지역 버스기사의 임금수준은 버스준공영제를 시행하는 광역시 중 여전히 꼴찌다. 현재 3호봉을 받는 인천 버스기사의 1인당 평균 급여는 간선을 기준으로 354만 원이다. 이는 서울 422만 원, 부산 411만 원, 대전 371만 원, 대구 369만 원, 광주 365만 원 중 가장 적은 액수다. 인천버스노조 측은 꾸준히 서울시와 비슷한 수준으로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어 추가 비용 증가도 예상된다.

결국 마지막 카드는 버스요금을 올리는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하지만 시민의 부담으로 이어지는 요금 인상을 시가 섣불리 시행할 수도 없는 형편이다. 이렇다 보니 준공영제 재정 절감을 외치면서도 뾰족한 수를 찾지 못하고 있는 모양새가 됐다.

버스업계의 수익성은 점차 떨어지고 있다. 인천시 시내버스 이용객 수는 2015년 4억400만여 명에서 인천지하철 2호선이 개통한 2016년 3억7천600만여 명으로 7%, 2017년에는 3억4천300만여 명으로 8.7% 줄었다.

시 관계자는 "물가와 임금 상승에 따라 눈에 띄는 예산 절감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많다"며 "앞으로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투명성을 확보하고 방안을 고민하는 등 꾸준히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유리 인턴기자 kyr@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