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미국이 2차 정상회담 개최에 합의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 ‘비핵화 담판’에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문재인 대통령과 정부가 추진해 온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도 다시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북미 정상은 지난해 6월 1차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완전한 비핵화에 노력한다는 데 합의를 했지만 그동안 가시적인 진전은 없어 북미 비핵화 협상의 교착 국면이 장기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 상황이었다.

앞서 세라 샌더스 미국 백악관 대변인은 1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간 2차 북미정상회담이 2월 말께 열릴 것이라고 밝혔다.

외신 등 보도에 따르면 북한과 미국은 19일 오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1개월여 남은 제2차 북미정상회담의 일정·장소와 의제를 위한 실무협상에 착수했다. 3박 4일 합숙까지 하며 ‘담판’을 벌이게 된다.

양측은 실무협상을 통해 완전한 비핵화, 북미 간 새로운 관계 수립,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등 1차 북미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주요 내용의 구체적인 이행 계획을 조율해 2차 북미 정상회담의 테이블 위에 올릴 예정이다.

이에 따라 북미 간 실무협상에서는 북한의 비핵화와 이에 따른 미국의 상응 조치를 놓고 치열한 기 싸움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양측은 작년 6월 제1차 정상회담 이후 북한의 핵시설 및 핵 능력에 대한 완전한 신고와 미국의 제재 해제를 놓고 팽팽하게 맞서 지금까지 2차 정상회담 합의에 어려움을 겪어왔다는 점에서 이번에도 가장 큰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미국과 북한이 2차 정상회담 성사를 위해 기존 입장에서 한발씩 물러나 8개월째 교착상태에 빠진 협상 국면을 타개하는 쪽에 무게를 두고 협상을 벌일 가능성도 거론돼 주목된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는 북미정상회담 개최 소식에 즉각 환영의 뜻을 표하며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자임하고 나섰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지난 19일 브리핑에서 "이번 회담이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를 확고히 다질 수 있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목표로 했던 ‘연내 종전선언’과 ‘김 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 등이 미뤄진 상황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는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본격 재가동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진다.

청와대는 회담 개최가 불투명했던 상황에서 확정됐다는 사실 자체만으로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2차 북미정상회담의 구체적인 날짜와 장소를 발표하지 않은 것에도 크게 의미를 두지 않고 있다. 북한의 비핵화 실행 조치와 미국의 상응 조치가 원만하게 전달되게 하느냐가 향후 청와대의 주된 관심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와대와 정부는 물밑에서 북미 간 견해차를 좁히는 ‘중재자 역할’에 최대한 공을 들일 전망이다.

김 대변인은 "미국과의 긴밀한 공조와 더불어 남북 간 대화도 확대해 가며 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모든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혀 이런 관측을 뒷받침했다.

청와대는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를 견인한 뒤 본격적으로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을 추진할 것으로 관측된다.

강봉석 기자 kbs@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