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이 참여하는 인천시 기초자치단체 도시재생센터가 체계와 인력 등의 문제로 시행착오를 겪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보도다. 도시개발로 인해 신도심으로 사람이 몰리면서 원도심은 흉물로 남게 된다. 이런 원도심을 재생시켜 살기 좋은 지역으로 만드는 역할을 하는 곳이 도시재생센터가 하는 일이다. 따라서 지역주민들이 주체가 되는 도시재생이 이뤄지도록 적극 지원하고 지역주민들의 입과 귀가 돼야 한다.

 하지만 원도심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일들을 통합적으로 진행하고 기획하는 역할을 담당할 컨트롤타워를 만들 인력·예산이 부족해 지역 의견수렴 등 한계에 부딪힐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기초도시재생센터 및 현장센터를 운영 중인 곳은 부평구·서구·동구·남동·중구, 강화군 등이다. 그러나 옹진군·계양구 등은 적임자를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연수구는 지원센터 없이 구가 직접 도시재생사업추진단을 꾸려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더욱이 이미 개소된 현장센터도 적은 인력으로 운영 중인 데다 기간제 근로자로 채워져 있다. 이러다 보니 각 지자체는 전담 컨트롤타워는 없이 주민설명회 등을 통해 지역의 목소리를 듣는 형편이다. 여기에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사업 진행 정도에 따라 재생센터를 설립할 수밖에 없는 처지다.

 도시재생은 주민 모두의 생각과 힘을 합쳐서 이뤄야 하는 사업이다. 그러나 지역주민, 활동가 등의 의견 수렴을 위한 도시재생센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기초도시재생센터와 현장센터의 기능과 역할이 체계적으로 나눠져 있지 않은 점 또한 문제다. 현재 진행되는 관 주도의 재생사업으로 주민참여 역량을 강화하기 힘들고 지역 전반의 의견을 수렴하는데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지나친 관 주도에 단기 성과주의, 재정적 여건 부실 등은 개선해야 할 과제임이 분명하다.

 도시재생은 거주자 중심의 지역공동체 사업으로 주민의 주체성이 핵심이다. 쇠퇴하고 낙후된 원도심을 대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도시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먼저 주민들의 목소리가 반영돼야 하며, 전문가 기구와 도시재생지원기구 등의 협력기관들이 서로 머리를 맞대야 한다. 주요 국정과제 중 하나인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주민·전문가·행정의 거버넌스를 연결할 필수 기구인 도시재생센터 설립과 역할 분담을 위해 민관이 함께 중지를 모아야 할 때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