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0.jpg
▲ 카드결제. /사진 = 연합뉴스
인천의 ‘역외소비’가 높은 이유가 있다. 지역 내 소비질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인천시가 고민해야 할 사항이다. 22일 인천시의회 ‘인천지역 소비행태 개선 연구회’가 주최한 세미나에서 이 같은 얘기가 나왔다.

김하운 인천시 경제특보는 지역 역외소비가 높은 이유로 ‘소비수준의 취약점’을 꼽았다.

인천의 2017년 1인당 민간소비는 전국 16개 시·도 중 11위(1천448만6천 원)에 그친다. 전국 평균은 1천620만2천 원보다 한참 낮은 수준이다.

이 조차도 삶의 질을 높이는 데는 적게 쓰고 있다. 인천시민의 소비 중 이동형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40.5%로 전국 평균인 38%보다 2.5% 높다. 이동형 소비 차이는 교통분야에서 가장 컸다. 인천시민은 지출 13.4%를 교통비에 할애한데 비해 서울시민은 9.8%를 썼다. 의료·보건비 비중도 평균치인 5.4%보다 높은 5.6%로 나타났다.

반면, 정주형 소비 비중 59.5%는 전국 평균치(62%)에 비해 떨어진다. 지역의 인적 투자를 결정하는 교육비 비중은 4.2%로 서울 6.9%, 대구 5.1%, 경기·부산 4.8%보다 낮았다. 정주형 소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임대차료·수도광열비 비중은 17%.6%로 서울 21.8%에 비해 4.2%나 적었다. 김 경제특보는 이 같은 인천의 소비행태를 ‘이동형 가구’로 규정했다.

평소 이동성이 많아 교통, 통신, 숙박비 등이 많은 대신 정주형 소비를 줄여 이동성 경비를 충당하고 있다는 얘기다. 이동성 지출이 많다 보니, 서비스에 대한 지출비중 역시 55.9%로 전국 평균 57.4%를 밑돌았다.

서비스분야의 낮은 지출은 소비 만족도의 저하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이는 결국 지역 내에서 소비와 생산, 고용이 선순환 돼야 만 해결된다. 52.8%로 전국 최하위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역외소비 문제도 마찬가지다. 개선책으로는 지역 내 이동성을 보장할 도로망 확충이 제시됐다. 내부 교통망을 원활히 해 도로 사정으로 인한 소비유출을 방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울을 비롯한 주변과 교통망을 이을 때는 외부 지역과 상권 등의 경쟁관계를 고려해 사전에 충격완화를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소비유출을 줄이고 유입을 늘리는 방안은 특화산업 육성과 인천지역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소비인프라 확충, 젊은 층의 유입을 위한 도시 마케팅이 꼽혔다.

중장기적으로는 의료와 교육 등 서비스 부문의 경쟁력을 강화해 시민들이 지역 내에서 질 높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정주성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홍봄 기자 spring@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키워드

#소비행태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